뉴스 일부러 안 본다…가장 높은 연령대는?
20세 이상 국민의 10명 중 7명은 뉴스를 안 보는 편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22일 펴낸 '미디어이슈' 10권 4호에 공개한 '국민의 뉴스 이용과 뉴스 회피'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세 이상 국민 3000명을 상대로 한 설문에서 최근 뉴스를 의도적으로 회피한 적이 있느냐는 물음에 72.1%가 그렇다고 답했다.연령대별로 구분하면 50대 응답자의 뉴스 회피 비율이 78.3%로 가장 높았으며 20대는 47.3%로 가장 낮았다. 정치적 성향으로 보면 자신을 진보로 규정하는 이들보다 보수라고 여기는 이들의 뉴스 회피 비율이 더 높았다.뉴스를 회피한다고 답한 이들에게 뉴스가 보기 싫어지는 상황을 고르게 했더니(복수 응답) ▲정치적 사건, 이슈가 많을 때가 63.9%로 가장 선택 비율이 높았다.이어 ▲반복해서 너무 많은 뉴스가 쏟아질 때(53.2%) ▲사회 갈등 이슈가 너무 많을 때(52.2%) ▲보고 싶지 않은 인물이 뉴스에 나올 때 (51.9%) ▲끔찍하거나 불편한 뉴스가 너무 많을 때(47.3%) 등이 뉴스를 보기 싫은 상황으로 꼽혔다.뉴스를 회피하는 이유는 콘텐츠 차원에서 5점 척도로 답하게 했더니 뉴스가 정치적으로 편향돼 있다는 답변이 3.79로 가장 높았다. 이어 보고 싶지 않은 인물이 나와서(3.78), 정치 등 특정 주제를 너무 많이 다뤄서(3.73), 부정적인 뉴스가 너무 많아서(3.62) 등의 순이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email protected]
2024-08-22 18:08:57
국내 3~4세 미디어 사용 WHO 권고보다 3배 높아
국내 아동의 미디어 사용 시간이 세계보건기구(WHO) 권고보다 3배나 긴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6일 발표한 '2023 어린이 미디어 이용 조사' 보고서에 이러한 내용이 언급됐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만 3∼4세 아동이 TV, 스마트폰, 태블릿PC, 컴퓨터 등 미디어를 사용하는 시간은 하루 평균 184.4분이었다. 반면 WHO 2∼4세의 미디어 사용 시간을 하루 1시간 이내로 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국내 3∼4세 아동이 WHO의 권고 기준 대비 3배나 오래 시청한다고 볼 수 있다. 연령대별로는 7∼9세가 196.9분으로 가장 길었고 5∼6세가 169.0분으로 가장 짧았다. 2020년 조사 때는 3∼9세 아동의 하루 평균 미디어 이용 시간이 284.6분이었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미디어는 스마트폰이었다.기기별 이용률은 ▲스마트폰(77.6%) ▲스마트TV(65.6%) ▲태블릿PC(57.1%) ▲컴퓨터(24.7%) ▲일반TV(17.1%) ▲게임 콘솔(16.6%) ▲인공지능 스피커(12.3%) 등의 순이었다.3∼9세 어린이의 75.3%는 유튜브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들 아동의 하루 평균 유튜브 이용 시간 83분으로 조사됐다. 어린이 17.6%는 온라인 동영상을 제작한 경험이 있었으며 그 비율은 7∼9세 아동의 경우 23.9%로 더 높았다.보호자가 어린이에게 스마트폰 이용을 허락하는 가장 큰 이유는 '아이의 스트레스 해소·기분전환'(50.8%)이었으며 '아이가 할 일을 다 하거나 말을 잘 들었을 때의 보상'(38.5%)이 뒤를 이었다. 보호자가 다른 일을 하는 동안 아이에게 방해받지 않기 위해 허용한다는 답변도 18.3%였다.이번 조사는 전국에 거주하는 만 3∼9세 어린이의 보호자 2675명을 상대로 작년 10월 26일∼12월 8일 실시됐다. 표본오차는 ±2%
2024-02-06 18:11:46
챗GPT로 없어질 직업 예상, 1위는?
국민 절반 이상이 챗GPT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이 지식노동자들의 업무를 상당 부분 대체하면서 해당 직업에 위기가 올 것이라 내다봤다.또 생성형 AI의 발달로 번역가·통역사란 직업은 사라질 확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언론진흥재단이 지난 3월29일부터 4월2일까지 만 18세 이상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53.9%는 '지식노동자들의 업무가 AI로 상당수 대체되면서 직업적인 위기가 올 것"이라고 답했다.이는 '지식노동자들이 단순 업무를 AI로 대체하고 창의적 업무에 집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답한 비율(46.1%)보다 7.8% 높았다.10개 직업군을 놓고 대체 가능성을 묻자 90.9%의 비율로 번역가·통역사를 꼽았다. '데이터분석 전문가'(86.9%), '자산관리사·보험설계사'(79.2%), '회계사·세무사'(74.0%), '이미지·영상 편집자'(73.3%)가 그 뒤를 이어 상위권에 올랐다.대체될 것이라는 예측이 상대적으로 낮은 직업군은 '작가· 작사가·작곡가'(46.5%), '교수, 교·강사'(50.9%), '기자(언론인)'(56.3%) 등이 있었다.정보검색 영역의 미래에서는 응답자의 66.7%가 '생성형 AI가 주도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는 '검색엔진 등이 계속 주도할 것'이라고 답한 비율 33.3%보다 2배 정도 높은 수치다.챗GPT와 같은 생성형 AI의 영향력이 지속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1.5%가 '계속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다. '집중적인 관심을 받다가 곧 열기가 식을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18.5%밖에 되지 않았다.다만 아직은 챗GPT 사용률이 저조한 것으로 집계됐다. 응답자의 5.0%만이 유
2023-04-12 15:10:47
만3~4세 하루 평균 약 4시간 미디어 시청
한국 만3~4세 어린이가 하루에 약 4시간 가량 미디어를 시청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 권고 시준의 4배를 초과하는 숫자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2020 어린이 미디어 이용 조사’를 통해 이러한 내용을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의 만 3~9세 어린이 20161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8월 14일부터 2개월 동안 이뤄졌다. 그 결과 만 3~9세 어린이가 TV, 스마트폰, 태블릿PC, 컴퓨터 등 ...
2021-01-14 09:3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