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게 한 마리야, 두 마리야?"...'흉측' 러브버그 많아진 이유는
초여름이면 시작되는 붉은등우단털파리(러브버그)의 도심 습격은 올해 유난히 일찍 시작됐다. 평년 대비 높은 기온이 지속되면서 서울에 역대 가장 이른 열대야가 나타났고, 아열대 기후에서 서식하는 러브버그도 급증했다.러브버그는 암수 한 쌍이 꼬리를 맞대고 붙어 있는 모양을 하고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다행히 자연이나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익충'으로 분류되지만, 시시때때로 출몰하면서 불편과 혐오감을 주고 있다.환경부와 전문가들 러브버그를 없애기 위해 살충제를 뿌리면 오히려 대발생을 부추길 수 있다고 경고했다. 러브버그가 오지 않도록 하려면 야간에는 불빛을 줄이고, 이미 실내로 들어온 러브버그는 살충제 대신 빗자루 등을 사용해 물리적 방법으로 제거하는 것이 낫다.러브버그의 개체 수는 왜 이렇게 많아진 것일까?24일 환경부와 지자체 등에 따르면 최근 도심과 공원, 주거지 근처까지 러브버그 떼가 발견된다. 정확한 명칭은 붉은등우단털파리인데, 이 벌레는 독성이 없고 인간을 물거나 질병을 옮기지 않는다. 유충일 땐 흙바닥에서 낙엽과 유기물을 분해하고, 성충이 되면 수분을 옮기는 역할도 한다.6월 중순부터 7월 초까지 1년에 한 차례 서울·경기 등 수도권 지역에 출몰한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새 유독 많은 개체가 출몰해 민원이 늘고 있는데, 전문가들은 러브버그 개체수 증가 원인으로 기후변화를 꼽는다.러브버그는 원래 중국 남부, 대만 등 아열대 기후에서 서식한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한반도 기후가 아열대성으로 바뀌자 기온이 더 높은 지역에 살던 곤충이 서식지를 우리나라로 확대한 것이다. 서울대 연구팀은 2022년 12월 미국 곤충학회 학술지
2024-06-24 15:51:55
-
-
북한산 등산객들 러브버그떼에 파묻혀 '깜놀'
최근 북한산을 찾은 등산객들이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에 파묻힌 영상이 올라오며 충격을 주고 있다.
SN에서는 북한산 등산객들이 러브버그를 촬영해 올린 사진이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달 30일 북한산에 오른 A씨가 인스타그램에 올린 사진을 보면 러브버그떼가 정상 바위를 새까맣게 보일 정도로 뒤덮었다.
A씨는 "제가 웬만해서는 벌레를 안 무서워하는데 태어나서 본 벌레 중에 제일 많다"며 "백운대 정상에 가득하다. 정말로 심각하다"고 말했다. 이어 착용한 방충모 안으로 벌레가 들어오지 못하게 그물망을 움켜쥐며 "이거 벗으면 큰일 난다"고도 했다.
한 외국인 여성 A씨는 지난달 29일 “어제 북한산에서 러브버그떼를 경험했다. 이건 한국에서 매우 드문 일”이라고 말하며 자신이 찍은 영상을 올렸다.
그는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수없이 달라붙은 러브버그를 떼어냈지만, 소용없는 모습이었다.
국립공원 측은 생태계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방제를 실시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국립공원은 지난 1일 인스타그램에 "국립공원 내에서 생태계에 영향을 주는 화학적 방제 및 생물학적 방제는 시행하지 않는다"며 "붉은등우단털파리는 인간에게 피해를 끼치지 않는 익충이며, 짧은 생활사(수컷 3~5일, 암컷 5~7일)로 인해 7월 초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진경 키즈맘 기자 [email protected]
2023-07-03 09:46:01
-
-
짝지어 다니는 '러브버그', 올여름도 기승..."징그럽다"
지난해 여름 서울 서북권과 경기 고양시 등에 기승을 부려 시민들의 불쾌감을 샀던 '러브버그'가 최근 서울 은평구를 중심으로 다시 나타났다.
은평구청에 따르면 이달 하루 1~2건에 그쳤던 러브버그 관련 민원이 17~19일 사흘간 500건을 넘길 정도로 폭증했다.
짝지어 다니며 불쾌감을 가중하는 러브버그의 정식 명칭은 파리목 털파리과 '붉은등우단털파리'다. 주로 중국 남부, 일본 오키나와 등지에 서식하는 벌레다. 다른 털파리과 곤충들과 마찬가지로 보통 암수가 쌍으로 다니는 모습에 '러브버그'라는 별칭이 붙었다.
전문가들은 최근 비가 오고 기온이 오르면서 땅 속에 있던 유충이 성충으로 탈바꿈하기에 좋은 환경이 북한산을 중심으로 형성됐을거라 추측했다.
박선재 국립생물자원관 연구관은 "러브버그는 수풀이 있거나 낙엽이 쌓인 환경을 서식지로 선호한다. 해당 지역에 산란하기 좋은 장소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배연재 고려대 환경생태공학부 교수는 "지난해에 이어 러브버그가 발생한 점으로 미뤄 이미 그 지역에 정착해 서식지로 삼았을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보건당국은 러브버그가 출몰할 가능성이 높은 큰 야산과 주거지역 경계 지역을 중심으로 방역에 돌입했다.
전문가들은 방역작업이 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섬세한 접근이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 연구관은 "화학적 방제가 즉각적 효과는 있어 보이지만 그로 인해 생태계가 영향을 받아 오히려 다른 벌레들이 대량 발생할 위험이 있다"며 "천적을 찾아 번식시키는 방식의 생물학적인 방제가 친환경적"이라고 짚었다.
배 교수는 "깔따구, 동양하루살이, 러브버그 등 여러 곤충이 해마다 대량 발생
2023-06-20 22:19:00
키즈맘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