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행복순위, 7년째 핀란드가 1위...한국 순위는?
사람들이 스스로의 삶을 평가해 매긴 행복 점수를 조사한 '세계행복보고서'에서 7년 연속으로 핀란드가 1위에 올랐다. 한국은 작년보다는 5단계 상승한 52위로 나타났다.유엔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은 20일 유엔이 지정한 '국제 행복의 날'을 맞아 이런 내용을 담은 '세계행복보고서'(WHR)를 발표했다.이는 갤럽세계여론조사(GWP)가 1년에 한 번씩 세계 각국에서 실시하는 주관적 안녕(SWB)에 관한 설문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보고서로, 조사 직전 3년 치 데이터를 반영해 점수와 순위를 매긴다. 올해 나온 보고서는 2021년~2023년 자료를 바탕으로 제작됐다.올해 행복도 1위에 오른 나라는 핀란드로, 7.741점을 기록해 7년 연속 정상을 차지했다.2~4위는 덴마크, 아이슬란드, 스웨덴이 이름을 올렸고 5~10위는 이스라엘, 네덜란드, 노르웨이, 룩셈부르크, 스위스, 호주였다. 북유럽 국가들이 상위권에 오른 모습이다.한국의 행복도 점수는 6.058점으로 52위다. 2022년에는 5.935점으로 57위, 2021년엔 5.845점으로 62위를 기록한 바 있다.이번 행복보고서에서 꼴찌는 아프가니스탄으로 143개국 중 143위였다. 미국과 독일은 각각 23위와 24위로 2012년 보고서 발간 후 처음으로 20위권 밖으로 밀려났고, 대신 코스타리카(12위)와 쿠웨이트(13위)가 20위권에 진입했다.보고서는 더 이상 행복 순위 상위권 나라들 목록에 인구가 많은 나라가 포함되지는 않는다고 언급했다. 보고서는 "상위 10개국 중 네덜란드와 호주만 인구 1천500만명이 넘는다"며 "상위 20개국 중에선 캐나다와 영국만 인구가 3천만명 이상"이라고 설명했다.또한 대다수 국가에서 청년세대가 기성세대보다 더 행복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지
2024-03-20 16:08:28
작년 한 해 한국 직장인 행복도는? '100점 만점에...'
지난해 한국 직장인 행복도를 조사한 결과, 100점 만점에 41점 수준으로 나타났다.직장인 소셜 플랫폼 블라인드는 한국노동연구원과 공동으로 개발한 '직장인 행복도 지표 블라인드 지수'(BIE·Blind Index of Employees' Happiness) 조사 결과, 지난해 점수가 전년 보다 1점 상승한 41점에 그쳤다고 15일 밝혔다.한국 블라인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작년 6월 28일부터 11월 28일까지 진행된 해당 조사에는 국내 직장인 5만216명이 참여했다.지난해 행복도 상위 10% 기업과 하위 10% 기업 간의 지수 격차는 2.5배로, 2022년(2.4배)보다 커졌다.상·하위 그룹에서 가장 큰 격차를 보인 항목은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였다.블라인드는 "한국 직장인의 평균 행복도는 조사가 시작된 2018년 이후 한 번도 50점을 넘지 못했다"며 "높은 스트레스 수준과 낮은 직무 만족도가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고 설명했다.주요 그룹 가운데 블라인드지수가 가장 높은 곳은 네이버(62점)였으며 이어 현대차(50점), SK(47점), 삼성(45점), 포스코·한화(각 43점) 등 순으로 나타났다.지난해 1위였던 카카오는 올해 39점으로 LG와 함께 공동 7위가 됐다.개별 기업 가운데 지난해 재직자들에게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기업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82점)이었다.대학내일(79점), 구글코리아·SAP코리아·시높시스코리아(각 78점), 네이버웹툰·당근(각 76점), 한국중부발전·퀄컴코리아·넥슨게임즈(각 75점)도 70점을 웃돌며 상위 10개 기업 안에 이름을 올렸다.직군별로는 의사(60점), 약사(59점), 변호사(59점) 등 전문직이 높은 행복도를 보였다.반면 군인(30점)과 언론인(34점)은 낮은 행복도를 나타냈다. 특히 한국 군인은
2024-01-15 17:45:01
"성적은 OO순이 맞네"...'이것' 높으면 성적 ↑
행복한 청소년이 학업성취도가 더 높지만, 공부를 잘한다고 해서 꼭 행복한 것은 아니라는 실증적인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 받는다. 19일 한국청소년연구에 실린 '청소년의 행복감과 협동의식 및 학업성취 간 인과관계 종단분석'(교신저자 박분희 목포대 교육학과 교수·주저자 함영란 박사) 논문에서 연구진이 2018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은 결론이 나왔다. 자료에는 청소년 1천934명(남학생 1천37명, 여학생 897명)을 중학교 1학년 때부터 고등학교 1학년 때까지 4년긴(2018~2021년) 추적한 내용이 실려 있다. 연구진이 분석한 결과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 때까지 4년 내내 행복감이 높았던 청소년은 학업성취도가 높았으며, 그 효과는 여학생의 경우 2배 큰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학업 성취도는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예를 들면 중학교 1학년때 느낀 행복감은 중학교 2학년때의 높은 학업성취로 이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중학교 2학년때 성적이 높았다고 해서 중학교 3학년때 더 행복하다 느끼는 경향은 나타나지 않은 것이다. 특히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는 행복감, 협동의식 등을 기반으로 청소년의 학업성취도를 상승시켰다. 중학교 1학년 때 부모의 따스함, 자율성 지지 등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경험했다고 응답한 학생들은 행복감과 협동의식 항목에서도 높은 점수를 보였는데, 특히 청소년이 부모의 따스함을 느낄수록 행복감, 협동의식, 학업성취도가 전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여성가족부가 지난달 30일 발표한 2023년 청소년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중·고등학생 스트레스 인지율은 41.3%로 전년보다 2.5%포인트 증가했으며, 여학생(47
2023-06-21 15:4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