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성평등 지수, 세계 몇 위?
한국의 성평등 수준이 전세계에서 여전히 하위권에 속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20일(현지시간) 세계경제포럼(WEF)이 내놓은 2023년 세계 젠더 격차 보고서(Global Gender Gap Report 2023)에 따르면 한국의 젠더 격차 지수는 0.680을 기록해 전체 146개 국가 가운데 105위에 그쳤다. 지난해에 비해 지수가 0.010 떨어지며 99위에서 6계단 내려간 순위다. 젠더 격차 지수는 1에 가까울수록 양성평등이 잘 이뤄진다는 의미다. 한국의 젠더 격차 지수는 2019년 108위, 2020년 102위, 작년 99위로 수년 간 상승했지만 올해 다시 순위가 떨어지고 지수 자체에서도 퇴보하며 양성평등 후진국이라는 오명을 벗기 힘들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은 올해 경제 참여·기회 부문(0.597)에서 114위, 교육 성취 부문(0.977)에서 104위에 머물렀다. 보건 부문(0.976)은 46위, 정치 권력 분배(0.169) 부문에선 88위였다. 특히 정치 권력 분배를 살펴보면 '의회에서 여성 비율'이 0.304를 기록해 84위에 그쳤다. WEF는 "피지와 미얀마, 한국 등은 정치 권력 분배 부문에서 가장 퇴한 국가들"이라고 꼬집었다. 1위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아이슬란드(0.912)가 차지했으며 그 뒤를 노르웨이(0.879), 핀란드(0.863), 뉴질랜드(0.856), 스웨덴(0.815) 순으로 다수의 북유럽 국가가 최상위권을 차지했다. 영국(16위·0.792), 스페인(18위·0.791), 스위스(21위·0.783), 호주(26위·0.778), 캐나다(0.770) 등도 비교적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이밖에 프랑스(0.756) 40위, 미국(0.748) 43위, 우크라이나(0.714) 66위, 이탈리아(0.705), 이스라엘(0.701) 83위 등이었다. 가나(100위·0.688), 부탄(103위·0.682), 세네갈(104위·0.680) 등도 한국보다 순위가 높았다. 한국보다 성평등 수준이 낮은 국가는 중국(107위·0.678), 부르키나파
2023-06-21 16:22:17
세계 성평등 순위, 한국은 몇 위?
세계경제포럼(WEF)이 13일(현지시간) 발표한 세계 젠더(성) 격차 보고서(Global Gender Gap Report 2022)에서 한국의 젠더 격차 지수가 전체 146개국 중 99위를 기록해 여전히 하위권에 자리했다.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젠더 격차 지수는 0.657로, 베트남(0.705·83위)이나 캄보디아(0.690·98위)보다 낮았다. 대체로 중국(0.682·102위)이나 일본(0.650·116위) 등 동아시아 국가들의 순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젠더 격차 지수는 1에 가까울수록 양성평등이 잘 이뤄져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WEF가 2006년부터 시작한 세계 성 격차 보고서는 경제 참여·기회, 교육 성과, 보건, 정치 권한 등 4개 부문에서 국가별 성별 격차를 수취화 하여 순위를 선정하고 있다.한국의 젠더 격차 지수는 2019년 말 108위에서 지난해 3월 102위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 다시 3계단 상승하는 등 개선되고 있지만 양성평등 후진국이라는 오명을 벗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한국은 올해 경제 참여·기회 부문(0.592)과 교육 성취(0.976) 부문에서 낮은 젠더 평등 지수를 기록하며 각각 115위, 97위를 기록했다. 보건 부문(0.976)은 52위, 정치 권력 분배(0.212) 부문에선 72위였다.경제 참여 기회 부문에서 한국 여성의 노동 참여율은 53.39%로 세계 90위에 그쳤다. 유사한 업무를 수행하는 남녀의 임금평등 지수는 0.603으로 세계 98위에 머물렀다.WEF는 지금과 같은 젠더 격차를 고려할 때, 여성이 4가지 모든 분야에서 남성과 동일한 기회를 얻기 까지 132년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작년 WEF의 보고서에 나온 136년보다는 적어진 것이지만, 2019년에는 이 기간이 100년을 밑돌 정도로 줄었던 점에 비춰 보면 다시 격차 해소에 드는 기간이 다시 크게 늘
2022-07-15 09:54:13
여성단체연합, 대선 젠더정책 발표…"돌봄 가치 인정해야"
한국여성단체연합은 제20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돌봄 중심 사회로의 전환, 젠더 정의 실현을 위한 성평등정책 추진체계 개편 등을 골자로 하는 '지속가능한 성평등 사회를 위한 젠더정책'을 21일 발표했다.여성단체연합은 우선 "사회 불평등과 양극화 속에 여성과 소수자들의 삶의 기반이 무너지고 있다"며 "기후 위기로 인한 재난, 과학·통신기술 발달에 따른 새로운 노동 형태의 출현과 온라인상의 젠더 폭력과 혐오 등 사회변화가 또 다른 차별로 이어지고 있다"고 현 상황을 진단했다.이들은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으로 사회 유지의 필수노동인 '돌봄'이 여성의 일로 전가되며 여성과 소수자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고 우려했다.이어 "여성과 자연의 착취에 기반한 '성장' 패러다임에서 돌봄 중심 사회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돌봄의 의미를 요양에서 보건, 의료, 교육 등 사회 유지를 위한 필수노동 전반으로 확대하고, 제대로 된 가치를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또 "모두가 돌볼 권리와 돌봄 받을 권리가 보장되도록 사회경제 체제를 재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여성단체연합은 또 젠더 정의 실현을 위한 국가 성평등 정책 추진 및 실행체계 강화를 강조했다.이들은 "양극화와 불평등, 젠더 기반 폭력, 기후 위기 등 여성들의 삶을 더욱 악화시키는 사회 부정의를 바꾸고 차별과 폭력 없는 미래를 위해서는 정책의 설계부터, 실행과 영향까지 젠더 관점이 반영될 수 있는 성평등 정부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아울러 "기후 위기, 불평등·양극화의 위기, 재생산의 위기에서 지속가능한 사회로 나아가
2022-02-21 18:0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