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전후 비만 주의해야…임신성 당뇨병 위험↑
임신 전후로 비만과 임신성 당뇨병을 관리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수영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 교수팀은 지난 2016년 1월부터 2020년 12월 사이, 삼성서울병원에서 산전 관리를 받으며 단태아를 낳은 산모 3078명을 대상으로 비만과 임신성 당뇨병이 임신부와 태아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했다. 연구팀은 환자군을 비만과 임신성 당뇨병 유무에 따라 4개 그룹으로 나눴다. 그룹1은 비만과 임신성 당뇨병이 모두 없는 경우, 그룹2는 비만 없이 임신성 당뇨병만 있는 경우, 그룹3는 임신성 당뇨병 없이 비만인 경우, 그룹4는 비만과 임신성 당뇨병 모두 있는 경우로 구분했다. 비만 기준은 세계보건기구에서 정한 ‘아시아 여성 비만 기준’에 따라 임신 전 체질량지수가 25kg/㎡ 이상인 임신부로 정했다. 해당 그룹에서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된 임신부들은 산전 관리 과정으로 임신성 당뇨병 관련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다이어트와 운동에 대한 세부 교육을 진행하고, 주기적으로 당 수치 검사를 시행하여 필요 시 인슐린 치료를 받았다. 연구 결과 그룹3(임신성 당뇨병 없이 비만인 임신부)가 그룹2(비만 없이 임신성 당뇨병만 진단된 임신부)보다 전반적으로 부작용 발생 수치가 더 높았다. 특히 제왕절개, 신생아 저혈당증,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상승했다. 그룹2가 임신성 당뇨도 비만도 없었던 그룹1과 비교하여 부작용 발생 수치가 전반적으로 비슷했다. 이를 통해 당뇨 수치를 잘 관리한 산모는 비만이 동반되지 않은 경우, 일반 산모만큼 안전한 출산이 가능하다는 점이 확인됐다. 오수영 교수는 “미국 산부인과학회 및 영국의 지침에 따르면 모든 임신부는 임
2023-10-26 12:06:53
임신성 고혈압 증후군 예방하는 생활습관은?
임신 중에는 생리적으로 혈압이 낮아지는데, 이와 반대로 혈압이 상승한다면 임신성 고혈압 증후군이다. 임신 전에는 정상이던 혈압이 임신 20주 이후 처음으로 고혈압(최고 혈압 140mmHg 이상, 최저 혈압 90mmHg 이상)이 된 경우에 의심해볼 수 있다. 임신성 고혈압 증후군은 임신부의 7~8% 정도에서 일어나며, 걸리기 쉬운 경향의 사람이 있지만 누구에게나 일어날 가능성이 있으므로 평소에 관리에 신경쓰는 것이 좋다. 특히 고혈압은 초기 단계에는 자각 증상이 없으므로 검진 시 제대로 혈압 체크를 해야한다.임신성 고혈압 증후군에 걸리지 않으려면 먼저 염분 섭취를 줄이는 습관을 가져보자. 염분을 과다 섭취하면 혈압이 오르는데, 이는 심장과 신장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간을 담백하게 해서 먹도록 노력해보자. 조미료는 적정량을 계량해 쓰고, 저염 간장을 쓰는 방법이 있다. 또한 식초나 레몬 등의 향신료를 사용해 맛을 보충할 수도 있다. 생활 리듬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잘 자고 잘 먹어야 한다. 숙면을 취하지 못하면 몸이 피곤해지고, 몸이 피곤하면 혈압이 오르기 쉬우므로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며 세끼를 잘 챙겨 먹는 것이 좋다. 체중 관리도 중요하다. 체중은 한 달에 2kg 이상 급격히 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스트레스는 그때그때 풀어야 한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혈관이 수축되고 혈압이 상승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스트레스를 줄이거나 해소하는 방법을 찾도록 한다. 체온이 떨어지거나 장시간 같은 자세를 유지하는 것도 피한다. 혈액순환이 나빠지면서 혈압이 올라가기 때문. 배나 하반신을 따뜻하게
2022-10-17 16:07:13
임신성 당뇨,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우리나라 임신성 당뇨 발생 빈도는 매년 1~2% 씩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임신성 당뇨병은 임신 중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할 경우 여러가지 합병증을 유발하고 태아에게 손상을 초래하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임신성 당뇨병이란?당뇨병이란 인슐린의 분비가 부족하게 되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대상에 이상을 초래하는 내분비 질환이다. 임신성 당뇨는 임신 중후반에 호르몬의 변화 및 체지방의 증가로 인해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고 상대적으로 인슐린 분비가 충분치 못해 발생한다. 임신으로 인한 생리적 변화에 의해 전에 없던 당뇨병이 임신 중에 처음 발생하는 경우로, 임신 전부터 있던 당뇨병과는 구별된다. 임신부의 나이, 다태임신, 임신 전 비만, 제2형 당뇨병의 가족력 등이 임신성 당뇨의 위험요소로 보고 있다. ◎ 임신성 당뇨의 진단임신성 당뇨병의 진단은 임신 24~28주 사이에 시행하는데, 50g 포도당 경구 부하 후 1시간 혈당을 측정하여 140mg/dl 이상인 경우에는 진단검사의 대상이 된다. 진단검사는 공복시, 포도당 100g 부하 후 1시간, 2시간, 3시간후의 혈당을 측정하여 4개의 검사 결과 중 2회 이상 기준을 초과할 때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하게 된다.◎ 태아와 임산부에게 미치는 영향은? 임신성 당뇨는 태아의 사망률을 높이고, 기형아와 거대아를 출산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 임신중독증으로 조산하는 경우가 2~3배 더 높다. 산모는 분만 후 당뇨병이 될 확률이 높고, 양수과다증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또한 분만시 난산의 위험률이 높고 감염이 발생하기 쉽다. ◎ 임신성 당뇨병 관리 어떻게 해야할까 혈당치를 정상으로 유지하는
2021-11-22 16:0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