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고독사 위험군 5만명...가장 많은 나이대는
'고독사 위험군'이 서울에 약 5만 가구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시는 2021년과 2022년 두 번의 실태조사를 한 결과 전체 조사 인원 8만 4천526명 중 5만 2천718명이 고독사 위험군으로 분류됐다. 지난 2021년 1차 조사 당시 약 3만 6천 가구를 발굴한 데 이어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1월까지 2차 조사를 실시해 2만 4천440가구를 추가로 찾아냈다. 2차 조사를 거치면서 사망·전출·사정 변경 등으로 6천698가구는 고독사 위험군에서 제외됐다. 전체 고독사 위험군은 성별로 나누면 남성이 53%, 여성이 47%로 나타났다. 연령은 60대가 36.1%로 가장 많았고 이어 70대 26.5%, 50대 19.4%, 80대 이상 16.6% 순이었다. 이번 실태조사는 임대주택, 고시원 등 주거취약지역에 거주하는 1인 가구와 자치구 추정 사회적 고립 위험가구 등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대상에 포함되지만 거부, 부재 등으로 조사하지 못한 인원은 약 6만 명이다. 시는 올해 9월부터 이들을 대상으로 재조사에 나서기로 했다. 2차 조사에서 고독사 위험군으로 분류된 2만 4천440명 중에서는 아플 때 돌봐줄 사람이 없는 경우(71.9%)가 가장 많았다. 마음이 울적할 때 대화 나눌 사람이 없는 경우가 49.3%, 1주일간 소통 횟수가 1회 이하인 경우 33.5%였다. 1인 가구 사유는 이혼이 42.5%로 가장 높았고 가족이 없는 경우는 12%였다. 직업이 없는 가구는 76.6%로 직업이 있는 가구의 3배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진경 키즈맘 기자 [email protected]
2023-07-10 20:26:02
외로운 죽음...5060 남성 고독사 가장 많다
혼자서 죽음을 맞이한 이들이 지난해에만 3천378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50~60대 남성 사망자가 많았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5년(2017∼2021년)의 고독사 발생 현황과 특징을 조사해 13일 '2022년 고독사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4월 시행된 '고독사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고독사 예방법)에 근거해 실시된 것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경찰청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경제적 문제, 사회와의 단절, 1인 가구 증가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갈수록 늘어난다고 추정되는 고독사 실태를 국가 차원에서 조사해 공식 통계를 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고독사'는 가족, 친척 등 주변 사람들과 단절된 채 홀로 사는 사람이 자살·병사 등으로 혼자 임종을 맞고 일정한 시간이 흐른 뒤 시신이 발견되는 죽음을 가리킨다.이 정의에 부합하는 사망 사례는 2017년 2천412건, 2018년 3천48건, 2019년 2천949건, 2020년 3천279건, 지난해 3천378건 등 총 1만5천66건이었다. 지난 5년 사이 연평균 8.8%씩 증가했다.지난해의 경우 전체 사망자 중 31만7천680명 중 고독사가 차지하는 비율이 1.1%에 달했다. 사망자 100명 중 1명 이상이 쓸쓸한 죽음을 맞은 셈이었다.이같은 고독사 증가세는 1인 가구 중심으로 가족 구조가 변화하고 주변 사람들과의 단절이 늘어나기 때문이라고 정부는 분석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인 가구는 전년보다 7.9% 증가해 전체 가구의 33.4%를 차지했다.성별로는 남성 사망자가 여성보다 4배 이상 많았다. 지난해의 경우 남성 고독사 사망자(2천817명)가 여성(529명)의 5.3배였다.연평균 고독사 증가율도 남성(10.0%)이 여성(5.6%)보다
2022-12-14 15:00:08
이웃집에서 나는 비릿한 악취...알고보니 '고독사'였다
복도에서 나는 악취를 맡고 경찰에 신고했다고 고독사 소식을 듣게 된 사연이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알려졌다. 지난 28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글을 쓴 A씨는 "살면서 나한테 이런 일이 생길 줄 몰랐다"며 글을 올렸다. A씨에 따르면 한달 전부터 아파트 복도에서 이상한 악취가 나기 시작했다고.A씨는 당시 이웃들이 집 앞에 내놓은 쓰레기가 악취의 원인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사건 발생 하루 전날엔 복도에 쓰레기가 없는데도 온종일 악취가 심해, 곧장 관리사무소에 이를 알렸고 관리사무소 측은 악취 나는 집을 찾으려 벨을 누르고 다녔다.그러다 A씨는 문제의 집이 쓰레기를 문 앞에 모아두는 집이 아닌, 그 옆집이라는 것을 알아챘다. 벨을 누르고 문을 두드려도 인기척이 없었고, 관리사무소 측은 "연락해보겠다"고 했다.A씨는 "생선이나 젓갈이 썩는 듯한 비린내가 나서 좀 쎄했다"며 "살면서 맡아본 냄새가 아니라서 확인해야겠다 싶은 마음에 장 보러 나가면서 경찰에 신고했다"고 밝혔다.그는 "시체 썩는 냄새 같은 게 난다. 요즘 고독사가 많다고 하니 한 번 확인해달라"고 경찰에 말했다. 이후 A씨가 장을 보고 온 사이 해당 집으로 119구조대까지 출동했다.A씨는 "그 집에서 흰색 방진복 같은 옷을 입은 사람이 서 있길래 신고자임을 밝히고 '제가 생각한 게 맞냐'고 묻자 '맞다'고 했다"며 "문 앞바닥에는 검붉은 액체가 흘러나왔고 문이 닫혀있을 때는 차원이 다른 악취에 머리가 아팠다"고 했다.그러면서 "1년 가까이 살며 한 번도 마주쳐본 적 없는 분인데 참 안타깝다"면서 "주위에 이런 일이 많다고는 하
2022-08-01 16:22:51
주거약자용 주택 ‘홀몸어르신 안심 센서’ 설치···고독사 예방한다
독거노인의 고독사 예방을 위해 주거약자용 주택에 안심 센서가 설치된다. 국토교통부는 ‘장애인·고령자 등 주거약자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안’(약칭 주거약자법) 일부 개정령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30일 밝혔다. 개정안에 따르면, 장기공공임대주택 중 65세 이상 고령자에게 공급되는 주거약자용 주택에 대해서 ‘홀몸어르신 안심 센서’가 설치된다. 센서는 입주자의 움직임 감지 후 일정 기간 동작이 없을 시 관리실 등에 자동 연락되며 입주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이번 국무회의에서 통과된 주거약자법 시행령은 2월 중 공포․시행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개정을 통해 장애인․고령자 등 주거약자의 주거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서민이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오유정 키즈맘 기자 [email protected]
2018-01-30 09:5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