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utterstock
가구가 소유한 집값의 가격 차이가 최대 40배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싼 집을 가진 가구는 소유하고 있는 주택도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18일 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행정자료를 활용한 2023년 주택소유 통계'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통계에는 주택공시 가격, 건축물대장, 재산세 자료 등 주택 관련 행정자료와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활용됐다.
지난해 주택을 소유한 가구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공시가격 기준)은 3억 2천100만원으로 전년(3억1천500만원)보다 상승했다.
가구당 평균 소유 주택 수는 1.35채, 평균 면적은 86.6㎡였다. 주택을 소유한 평균 가구주 연령은 57.3세, 평균 가구원 수는 2.55명이었다.
자산가액 기준 상위 10% 가구의 평균 주택 가액은 12억5천500만원으로 하위 10% 평균 주택 자산 가액(3천100만원)의 40.5배 수준이었다.
상위 10% 가구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은 전년(12억1천600만원)보다 약 4천만원, 하위 10%는 전년(3천만원)보다 100만원 증가했다. 상위 10% 가구의 평균 소유주택 수는 2.37채로 하위 10%(0.98채)보다 약 2.4배 많았다.
비싼 집을 가진 가구일수록 소유 주택 수도 더 많은 것으로, 이를 통해 한국 사회의 자산 양극화를 엿볼 수 있다.
2022년 11월 1일 기준으로 소유한 주택이 없었다가 1년 뒤 소유자가 된 사람은 71만9천명이었다. 반대로 같은 기간 주택 소유자에서 무주택자가 된 사람은 30만6천명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소유 주택이 늘어난 사람은 102만6천명이었고 이중 대다수인 98만 1천명이 집을 1채 더 산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소유 건수가 감소한 사람은 55만6천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가구가 소유한 주택은 1천675만9천채로 전년(1천644만8천채)보다 31만2천채 늘었다.
가구의 주택 소유율은 56.4%였다. 주택 소유율은 상대적으로 1인가구(31.3%), 비친족가구(42.3%), 한부모·미혼자녀 가구(53.9%) 등이 평균 보다 낮게 나타났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