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utterstock
스페이스X의 위성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가 내년 초 국내에 도입될 전망이다. 스타링크가 주파수 혼신 없이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도록 규제한 국내 기술 기준이 개정돼 15일부터 60일간 행정예고에 들어가면서 서비스 도입 시기가 가시화된 것이다.
1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행정예고 뒤 3~4개월간 스타링크코리아와 미국 스페이스X 본사가 맺은 국경 간 공급 협정에 대한 승인, 법제처 심사 등을 거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내년 1~2월에는 스페이스X가 국내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는 요건이 전부 마련되는 셈이다.
스타링크 한국 서비스는 당초 2023년 1분기에 도입될 예정이었지만 늦춰졌고, 그 사이 100여개 국에 스타링크가 도입됐다.
지난해 10월 정부는 '스타링크로부터 필요 서류를 제출받는 중이며 마무리 단계'라고 언급했지만, 이후 1년 이상 서비스 개시가 불투명한 상태로 이어졌다.
스페이스X 설립자 일론 머스크는 자신의 X 계정에 스타링크의 한국 출시를 알리는 국내 언론 보도를 공유하고 "그렇게 되면 좋을 것(That would be cool)"이라는 답글을 달았다.
다만 국내에서 스타링크 서비스가 시작되더라도 당장은 수요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주파수를 수신하는 단말기(브이샛) 가격이 최소 20만원(149달러)이고 월간 이용 요금도 13만원(99달러)으로 휴대전화 통신보다 비싸지만, 전송 속도는 낮기 때문이다.
이에 초기 시장에서는 제휴를 맺은 국내 통신사 SK텔링크, KT SAT, LG유플러스와 협력해 도서·산간·해상 등 기존 통신망이 닿지 않는 지역을 공략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도 저궤도 위성 통신과 단말기가 직접 교신하는 '다이렉트 투 셀'(Direct to Cell) 통신이 상용화될 때 국내 이동 통신사들과 스타링크 간 경쟁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다이렉트 투 셀' 서비스를 위해 스페이스X가 제휴하는 통신사는 미국의 티모바일을 비롯해 일본의 KDDI, 호주의 옵투스, 뉴질랜드의 원 엔지, 스위스의 솔트, 칠레와 페루의 엔텔 등 8개국의 7개 회사다.
스페이스X는 올해 우선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전송 서비스로 시작해 내년에는 음성통화와 인터넷 데이터 사용, 사물인터넷(IoT) 연결까지 가능하게 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우리 당국에서도 저궤도 위성 통신이 기존 통신 서비스 산업의 지형에 큰 변화를 초래하기 시작했다는 분석을 내놨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은 저궤도 위성 통신의 정책 이슈 보고서에서 "현재는 기존 통신 서비스에 대한 보완적 성격이 강하지만 중장기적으로 위성 통신의 가격 경쟁력이 강화되고 가입자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KISDI는 "무엇보다도 비용 측면에서 위성통신의 경쟁력이 매우 강력한데 운용 인력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 서비스 구조인 데다 발사체의 재활용을 통한 원가 경쟁력에서도 격차가 크다"고 분석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