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utterstock
휴대전화에서 방출되는 전자파가 뇌암 등 뇌 질환을 유발한다는 의혹이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이런 연구 결과로 휴대전화는 오래 된 '오명'을 벗었다.
3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 CNN 방송 등에 따르면 WHO는 1994년부터 2022년까지 발표된 관련 연구 5천여 건을 검토하고 63건을 최종 분석한 결과, 휴대전화 이용과 뇌암 발병 간 연관성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WHO는 10년 넘게 장기간 전자파에 노출되거나, 평소 통화를 많이 하는 등 휴대전화 사용 시간이 많은 경우에도 뇌암 발병 위험은 증가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휴대전화 기지국, 라디오나 TV 송신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에 노출된 어린이들도 뇌암이나 백혈병 등 질병에 걸릴 위험이 커지지 않았다.
이처럼 휴대전화 전자파가 뇌암 발병 위험을 상승시킨다는 오해는 2011년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전자파를 발암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지정하면서부터 시작됐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런 분류가 일부 뇌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제한된 연구를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전자파를 확실한 발암 물질로 규정한 것은 아니라고 설명한다.
전자파를 발암 물질로 분류하는 근거가 된 초기 연구들은 뇌암 환자들이 직접 밝힌 휴대전화 이용 시간과 뇌암에 걸리지 않은 비교군의 휴대전화 이용 시간을 단순 비교하는 식으로 이뤄졌다. 문제는 뇌암에 이미 걸린 환자들은 자신의 질병 원인을 명확히 알고 싶은 마음에서 원래보다 휴대전화 이용 시간을 부풀리는 등 편향된 답변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번 WHO 연구에 참여한 방사선 전문가 켄 카리디피스는 이후 진행된 코호트(동일집단) 연구에서는 휴대전화 이용과 뇌암 발병 간의 연관성이 보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땀띠약으로 사용되는 활석분이나 알로에베라도 전자파와 마찬가지로 '발암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분류된 바있다고 덧붙였다.
WHO는 휴대전화 기지국 역시 뇌 질환 발병 위험과는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기지국은 전자파 유해성 논란으로 기피시설로 여겨져 왔지만, 카리디피스는 "기지국이 설치된 곳에서는 휴대전화가 신호를 받기 위해 더 센 전자파를 내보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오히려 전자파 노출도가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