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utterstock
부모가 스마트폰 의존도가 높은 경우 자녀도 약 80%가 지나친 스마트폰 사용으로 일상생활, 정서 등에 문제를 겪는 것으로 확인됐다.
29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보건사회연구' 최근호에 게재된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자녀의 스마트폰 의존도의 전이관계'(김소연 외) 논문에 따르면, 초등학교 6학년 어린이와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이 같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연구팀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 조사의 3차년도 데이터 가운데 스마트폰 관련 문항에 응답한 초등학교 6학년생 2천229명과 이들의 부모(어머니 2천51명, 아버지 178명)를 스마트폰 저의존형, 평균형, 고의존형으로 나누어 비교했다.
스마트폰 의존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문항에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느라 일(공부)에 집중이 안 된 적이 있다', '스마트폰 사용에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이 습관화됐다', '스마트폰이 없으며 안절부절못하고 초조해진다' 등이 포함됐고, 질문에 대한 4점 척도로 응답하게 했다.
그 결과 부모 응답자 중 저의존형과 평균형, 고의존형의 비율은 33.9%, 49.5%, 16.6%였고, 자녀의 경우 36.4%, 40.3%, 23.3%로 나타났다.
부모와 자녀 간 상관관계를 분석해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 정도가 자녀에게 얼마나 전이됐는지 확인한 결과, 부모가 고의존형인 경우 78.6%의 자녀가 고의존형에 속했다. 반면 평균형이거나 저의존형인 경우 각각 11.7%, 9.7%밖에 되지 않았다. 부모가 저의존형이면 자녀의 54.4%도 저의존형이었고, 37.9%는 평균형에 속했다.
한편 부모가 평균형에 속해있다면 자녀도 평균형일 경우가 51.5%로 가장 높았으며, 32.9%가 저의존형, 15.6%는 고의존형이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자녀의 스마트폰 의존도 감소를 위해 부모도 스마트폰 사용을 줄여야 함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또 "자녀의 스마트폰 초기경험 시 스마트폰 교육이 선제적으로 이뤄지도록, 체계적인 부모 교육과 가정 내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가족 실천 중심의 온라인 교육 개발 및 보급이 활성화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