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utterstock
금값이 3월 초부터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시장 전문가들조차 정확한 원인을 도출하지 못하고 있다. 왜 하필 지금인지,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한 답이 쉽게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블룸버그통신은 7일 최근 벌어지고 있는 금값 급등 현상을 전문가들조차 명쾌하게 해석하지 못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통상 금값은 금리가 하락하면 오르는 경향을 보인다. 올해 말 세계적으로 금리가 인하하면 금값도 올라갈 것으로 내다보는 투자자, 전문가들이 많았다. 특히 세게 경제전망이 어두운 현재 상황을 감안하면 금 가격 급등은 설명하기 쉬울지도 모른다.
하지만 자세한 급등 추세를 보면 답을 내기가 어렵다.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온 금시세가 3월 초부터 급등세를 띄기 시작해 지금까지 14%나 올랐다.
지정학적 불안감이 금값 상승의 원인이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의 경우 몇 년 전부터 진행 중이었고, 그 밖의 지정학적 긴장도 이전부터 지속돼왔기 때문이다.
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전망은 한 달 전에 비해 지금이 훨씬 불투명한 상태다.
각국의 중앙은행이나 대형 금융기관, 트레이더들이 금을 많이 매입했기 때문이라는 해석을 쉽게 내놓을 수 있지만 충분한 답은 되지 않는다.
이 중에서도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금 보유량을 늘렸기 때문이라는 가설이 나온다. 실제로 인민은행의 금 보유고는 지난달 7천274만 트로이온스로 늘었다. 하지만 인민은행의 금 보유 확대는 17개월째 이어지고 있어, 최근 급등기를 설명하기엔 무리가 있다.
인도 중앙은행도 9개월째 금 보유량을 늘리고 있다. 하지만 각국 중앙은행이 시장에 대한 두려움이나 욕심에 따라 금 매입에 나서는 조짐은 없다.
또 투자자들이 쉽게 살 수 있는 금 상장지수펀드(ETF) 유출액이 오히려 늘고 있다는 것도 이상한 부분이다. ETF 스토어의 네이트 제라시 대표는 "(이런 현상은) ETF 시장에서 본 것 중 가장 기이한 현상"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금 가격 급등에는 모든 부분이 관련되어 있지만, 딱히 누가 주된 요인이라고 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일부에서는 금 투자자들이 미국 경제의 경착륙 가능성을 높게 보고 위험을 없애기 위해 금을 사들인 게 아니냐는 추측을 내놓는다.
삭소뱅크AS의 올레 한센 상품 전략팀장은 "여전히 높은 금리 상황에서 나온 이번 금값 랠리는 일반의 상식을 거스르는 것"이라면서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중앙은행들의 탈세계화 흐름 속에 인플레이션 지속과 경착륙 가능성이 커졌다고 보는 듯하다"고 밝히기도 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