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utterstock
세계 기대수명이 1990년 이후 30년간 평균 6.2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호흡기 감염, 설사, 허혈성 심장실환 등 주요 질환에 의한 사망자가 감소한 데 따른 것이다.
다만 2020년 코로나19 펜데믹 영향으로 많은 국가의 기대수명 증가 추세가 약해졌다.
4일 의학 저널 랜싯(Lancet)에 따르면 미국 워싱턴대 모흐센 나그하비 교수가 주도한 국제연구팀이 전 세계 기대수명과 사망 원인 등을 분석한(1990년~2021년) 보고서 '글로벌 질병, 부상 및 위험 요인 부담 연구(GBD) 2021'에 이런 내용이 담겼다.
분석 결과 전 세계 기대수명은 30년 사이에 평균 6.2년 증가했다. 호흡기 감염, 설사, 뇌졸중, 허혈성 심장질환 등 주요 질환에 의한 사망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코로나19 대유행이 2021년 세계 기대수명을 1.2년 단축해, 수십 년 지속된 가파른 기대수명 증가 추세를 둔화시켰다.
같은 기간 기대수명이 가장 많이 늘어난 지역은 동남아시아·동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으로 평균 8.3년 증가했다. 이 시기 만성 호흡기 질환과 뇌졸중 등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많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다음으로 남아시아와 사하라 남부 아프리카가 7.8년 증가했다.
코로나19로 가장 사망률이 높아진 국가 중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지역은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코로나19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당뇨병과 신장질환 등 비전염성 질병의 위협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