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Total News
한국 사회, 올해 주의해야 할 사회심리 현상은?
입력 2024-01-04 09:24:46 수정 2024-01-04 09:24:46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shutterstock


전문가들은 올해 한국 사회가 가장 경계해야 할 사회심리 현상으로 '확증 편향'을 꼽았다.

한국 사회 및 성격 심리학회는 회원 대상 설문조사를 진행해 '2024년 한국 사회가 주목해야 할 사회심리 현상'으로 확증 편향을 최종 선정했다고 4일 밝혔다.

사회 및 성격 심리학회는 심리학의 발전과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1975년 세워진 학술단체다.

학회에 따르면 '확증 편향'(confirmation bias)은 자신의 견해가 옳다는 것을 확인시켜주는 증거는 적극적으로 찾으려 하지만, 자신의 견해를 반박하는 증거는 찾으려 하지 않거나 무시하는 경향성을 말한다. 흔히 통용되는 '보고 싶어 하는 것만 본다'는 말과 같은 셈이다.

이런 확증 편향은 일상에서 다양한 형태로 작동한다.

대표적으로 정치 사회적 현안을 두고 자신의 성향에 맞는 뉴스(정보)는 선택적으로 취하면서 반대되는 뉴스는 의도적으로 배제하는 경향이 이에 해당한다.

특히 이런 확증 편향은 최근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에서 개별 사용자의 시청 및 검색 기록을 분석해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추천 알고리즘'의 영향으로 더욱 심화하고 있다는 게 학회의 분석이다.

확증 편향은 자동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전문가 집단에서도 적지 않게 나타난다.

학회는 ▲ 의료인이 처음에 내렸던 진단과 일치하는 증상만을 고려한 채 다른 증상에 대해서는 무시해 버리는 경우 ▲ 법조인이 용의자를 지목하고 나서는 그 용의자가 유죄라는 증거에만 초점을 맞추려 하고 무죄임을 시사하는 증거는 수용하지 않는 경우 ▲ 학자가 자신의 가설에 반하는 결과들에 대해 수용하려 하지 않거나 연구 설계상의 오류로 치부하는 것도 확증 편향에 해당한다고 예시했다.

학회는 "확증 편향이 항상 그릇된 판단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상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없도록 만듦으로써 현명한 의사 결정을 방해하기도 하고, 더 나아가 사회 갈등을 심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사람들이 확증 편향에 빠지는 이유로는 빠르게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믿음과 일치하는 정보만 취하거나, 자기 생각이 틀렸다는 것에 대한 인정을 극도로 꺼리는 특성 등을 거론했다.

학회는 확증 편향을 줄이기 위해 의사결정 과정에서 확증 편향이 생길 수 있음을 인식하고, 자신의 견해와 상반되는 정보도 '열린 마음'으로 찾으려 애써야 한다고 설명했다.

학회는 "확증 편향은 대개 무의식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확증 편향의 가능성을 인식하는 것만으로도 절반은 성공한 셈"이라며 "그 이후에는 자신의 믿음을 지지하는 증거에 반대되는 증거를 찾기 위해 의식적으로 노력을 기울인다면, 보다 올바르고 균형 잡힌 판단과 의사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email protected]
입력 2024-01-04 09:24:46 수정 2024-01-04 09:24:46

#확증편향 , #한국 , #사회심리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