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splash
스마트폰에 사용자의 언어를 분석해 우울증을 진단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기및전자공학부 이성주 교수 연구팀이 사용자의 언어 사용 패턴을 개인정보 유출 없이 스마트폰에서 자동으로 분석해 이용자의 정신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AI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1일 밝혔다.
스마트폰을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사용하기만 해도 우울증 등 정신건강 상태를 자가진단할 수 있다.
연구팀은 정신질환 진단을 내릴 때 환자와의 상담을 통한 언어 사용 분석에서 이뤄지는 점에 착안해 연구를 시작했다.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문자메시지 등 키보드 입력 내용과 스마트폰 마이크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신건강이 진단된다.
언어 데이터는 사용자의 민감한 정보를 담고 있을 가능성이 있어 기존에는 활용하기 어려웠다.
이에 연구팀은 연합학습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해, 기기 외부로의 데이터 유출 없이 AI 모델을 학습해 사생활 침해 위험이 없도록 개선했다.
연구팀은 스마트폰 위 대량으로 주어지는 사용자 언어 데이터로부터 효과적인 정신건강 진단을 수행하는 방법론도 개발했다.
예를 들면 업무 시간보다는 저녁 시간에 가족 또는 친구들과 나누는 대화에 정신건강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단서가 많다고 AI 모델이 판단해 중점을 두고 분석하는 방식이다.
이번 연구 성과는 KAIST 지난 6~10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자연어처리 국제학회’(EMNLP)에서 공개됐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