핼러윈 데이를 앞두고 축제가 열린 서울 용산구 이태원에서 압사 참사가 일어난 지 하루가 지났다.
'핼러윈'이 다가오면 지역 명소는 핼러윈을 내세운 축제를 열기도 하고, 카페, 음식점도 핼러윈 분위기를 내기 위해 노력한다. 이 시기엔 수많은 사람들이 핼러윈의 특별한 분위기를 즐기기 위해 삼삼오오 거리에 나오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핼러윈은 본래 어떤 행사일까.
미국 언론에 따르면 10월 31일인 핼러윈은 미국의 축제로 잘 알려졌지만, 역사학자들은 핼러윈이 고대 켈트족의 새해(11월 1일) 축제 '사윈(Samhain)' 축제에서 유래됐다고 말한다.
켈트족은 이날이 되면 사후 세계와의 경계가 흐려지면서 악마와 망령이 세상에 나타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사자의 혼을 달래기 위해 모닥불을 피우고 음식을 내놓았으며, 망령이 알아볼 수 없게 변장을 했다고 한다.
이후 8세기가 되자 유럽 가톨릭교회가 11월 1일을 '모든 성인 대축일'로 지정했고, 그 전날인 10월 31일에 사윈 축제를 이어갔다. 이후 '신성한(hallow) 전날 밤(eve)'이라는 의미로 핼러윈이라 불리게 됐다.
중세 유럽에서 켈트와 가톨릭 신앙이 결합된 형태로 발전해 온 이 축제는 아일랜드 등 유럽 이민자들이 미국으로 이주하면서 원주민 문화와 다시 융합돼 오늘날의 모습으로 정착됐다.
미국 영화나 드라마에서 유령이나 괴물로 분장한 아이들이 집마다 초인종을 누르고 다니며 "간식을 주지 않으면 장난칠 거야'(trick or treat)라고 외치는 모습은 우리나라에도 잘 알려진 풍경이다.
이날엔 어린이뿐 아니라 어른도 드라큘라나 프랑켄슈타인, 미라 등 대중문화를 통해 잘 알려진 괴물 의상을 차려입고 모여 파티를 한다.
집 창문에 모형 거미줄을 걸고 마당에는 호박에 구멍을 파고 등불을 넣은 '잭오랜턴'과 해골 인형을 세워두는 등 동네에서 가장 무서운 집을 꾸미려고 경쟁하기도 한다.
핼러윈의 상업적 효과도 크다.
사탕과 초콜릿을 주는 등 핼러윈 문화가 식품업계와 연관되면서 소비자들의 지갑이 흔쾌히 열리는 날이다.
전국소비연맹(NRF)에 따르면 올해 미국인이 사탕, 장식, 의상 등 핼러윈용품에 사용한 돈은 106억 달러(약 15조 원) 규모로, 기존 최대 기록인 지난해의 101억 달러를 경신할 것으로 추산했다.
이 가운데 애완동물용 의상에만 7억1천만 달러를 소비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처럼 핼러윈은 애초에 한국과 전혀 상관이 없는 날이었지만 미국 문화가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치면서 한국의 젊은 세대 사이에서도 유행하기 시작했고, 상업주의와 맞물리면서 축제로 자리잡고 있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