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2년부터 2026년까지 총 100만 명의 디지털 인재를 육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초·중등 정보교과 수업시수를 현재의 2배 이상으로 늘리고, 초·중학교에 컴퓨터언어(코딩) 교육을 필수화한다.
정부는 전 국민의 디지털 교육 기회 확대와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을 22일 발표했다.
이 방안에는 초‧중등 정보교육(소프트웨어, 인공지능 교육) 확대, 교원과 교수 확보, 디지털 친화 교육환경 조성 등에 대한 내용이 담겼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인력수급분석센터에 따르면 향후 5년간 디지털 분야에는 약 73.8만명의 인재가 필요할 전망이다. 2021년 정부 재정사업 기준으로는 9만9000명, 향후 5년간 약 49.5만명의 인재를 키워낼 수 있다. 현재 공급체제가 유지된다면 향후 인력난이 심해질 가능성이 크다.
이에 정부는 향후 5년간 초급(고졸·전문학사) 16만명, 중급(학사) 71만명), 고급(석·박사) 13만명 등 총 100만명의 인재양성을 목표로 잡았다.
학교 정보 교육관련 수업 시수는 2배 가량 확대한다. 정보교육은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AI) 관련 교육을 통칭하는 말이다. 2025년 적용하는 2022년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정보교육 수업시수를 초등학교는 기존 17시간에서 34시간 이상, 중학교는 34시간서 68시간 이상으로 2배 늘린다.
초등학교 및 중학교에서 학생 발달단계에 따른 체험·탐구 중심의 코딩교육을 필수화하고, 고등학교에서는 학생의 진로·적성을 고려한 학점제형 다양한 코딩과목을 신설한다. 코딩 교육, AI 등 디지털 신기술분야 등을 위해 대학, 연구소, 디지털문제해결센터 등과 연계해 방과후 수업 활동도 확대한다.
소프트웨어·인공지능 특화 교육과정은 2022년 2개교를 시작으로 2025년에는 14개 학교로 확대할 방침이다. SW·AI 분야에 특기가 있는 일반고 학생을 대상으로도 영재학교 및 과학고의 심화과정을 온·오프라인으로 제공한다.
또한 특성화고 중 SW·AI 등 디지털 분야 역량이 충분한 학교를 마이스터고로 지정·확대한다. 현재는 총 6개 학교가 운영 중인다 권역별로 1~2개를 운영하는 것이 목표다.
정부는 기업수요와 연계해 '채용연계형 직무교육과정'도 신설할 방침이다. 구인기업(SW, 클라우드, 인공지능, 빅테이터) 등의 수요를 반영한 3개월 내의 사전직무교육 및 현장교육, 취업 컨설팅 등을 통합적으로 제공한다.
더불어 중소기업 취업 맞춤반, 스마트공장 거점학교, 신기술교육 중점학교 등도 운영할 방침이다.
나아가 인공지능 융합교육 중심고(2026년까지 180개교), 방학중 디지털 캠프 지원, 온라인고교 등을 통한 공동교육과정(가칭) 지원 등으로 지역과 학교의 범위를 넘어 학생들에게 디지털 교육기회를 제공한다.
장상윤 교육부차관은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살아갈 모든 국민이 기초소양으로서 디지털 역량을 충분히 갖출 수 있도록, 생애 전 주기에 걸쳐 교육 체제 내에서 디지털 친화적 인재를 적극 양성하겠다"고 밝혔다.
이진경 키즈맘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