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우울제는 투여 기간을 단기간으로 줄이고 처방 빈도를 낮춰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의학 뉴스 전문매체 메디컬 라이프 사이언스(News Medical Life Science)에 따르면,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의대 정신과 마크 호로위츠 박사 연구팀은 항우울제는 효과가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고 부작용이 있으며, 장기간 투여할 시 금단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단기간에 최소한의 양을 사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영국에서 보급되는 항우울제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등 신세대 항우울제의 등장으로 처방이 꾸준히 증가했다. 2019~2020년에는 780만명에게 최소 1회 이상 처방됐다.
이는 성인 6명에 한 명은 항우울제를 처방받았다는 사실을 의미하며, 여성은 처방률이 50%가 넘었다.
항우울제의 효과를 입증할 때 대부분 6~12주 동안 임상시험을 진행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는데, 이것이 임상적으로 중요한 차이를 나타내는 기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또, 임상시험은 대부분 우울 증세의 평가 척도에만 초점을 맞춰서, 환자 개인의 삶에 중요한 사회적 기능과 삶의 질 변화 등으 측면을 외면하고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특히 아동과 10대 환자에게 항우울제 효과는 성인 환자보다 확실성이 떨어지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5~2017년 사이 12~17세 환자에 대한 항우울제 처방이 2배 이상 증가했다.
부작용도 심각하다.
가장 많이 처방되는 항우울제인 SSRI 계열의 약은, 처방된 환자 5명 중 한명 꼴로 낮 시간 졸림, 구강건조, 과도 발한, 체중 증가가 나타났다.
4명 중 1명은 성기는 장애, 10명 중 한 명은 안절부절즐(restlessness), 근육 경련, 오심, 변비, 설사, 어지럼증이 발생할 수 있다.
항우울제를 3년 이상 복용하는 사람은 이 밖에 정서 마비(emotional numbness)와 머리가 멍한 상태가 되는 의식 혼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 다른 문제는 항우울제 복용을 중단했을 때 불안, 불면증, 초조, 식욕 변화와 같은 금단 증상을 겪을 수 있다는 점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런 금단 증상은 이전에 예상한 것보다 더욱 자주, 오래 지속되며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항우울제는 갑자기 끊지 말고 서서히 용량을 줄여나가야 한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약물 게시판 협회 (International Society of Drug Bulletins) 학술지 '약물과 치료법 게시판'(Drug and Therapeutics Bulletin)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