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기혼여성의 출산율이 1970년생 94.3%, 1980년생 90.0%, 1995년생 57.1%로 점차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당 년도의 인구주택총조사 시점을 기준으로 출산 경험이 있는 기혼자의 비율을 조사한 통계다.
통계청 박시내 서기관과 박혜균 통계실무관은 24일 통계청이 발간한 '통계 플러스-저출산 시대, 기혼여성 해석하기'에서 이런 통계를 내어 "최근 출생 코호트의 출산율 하락 현상은 결혼 기간이 짧아 출산하지 않았거나 불임 또는 자발적 무자녀인 경우라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체적으로 2020년 기혼여성의 출산율은 91.6%로, 2010년 96.0%에 비해 10년 사이 4.4%포인트 하락했다.
집필진이 꼽은 저출산의 원인에는 '가임여성 인구의 감소', '비혼 증가', '기혼여성 출산율 하락' 등이 있었다.
이들은 임신·출산 시기를 미루거나 자발적으로 무자녀 가정을 택하는 사례가 늘고, 초혼연령이 높아지며 난임과 불임이 증가한 사회적 세태가 출산율 하락에 영향을 미쳣을 것으로 분석했다.
한편,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를 기준으로 한 통계자료는 1980∼1984년생의 기혼여성 출산율이 20세 1.9%, 25세 14.8%, 30세 59.9%, 35세 80.3% 등으로 나타났다. 즉 10명 중 4명은 30세에도 출산을 하지 않은 상태였다는 것이다.
1950∼1954년생 기혼여성의 출산율은 20세 16.2%, 25세 69.5%, 30세 92.2%, 35세 95.5% 등이었다.
1970∼1974년생 기혼여성의 출산율은 20세 3.5%, 25세 34.5%, 30세 76.8%, 35세 90.1% 등이었다.
집필진은 "결혼과 출산의 선택에는 객관적 상환뿐 아니라 결혼과 자녀에 대한 가치관, 태도가 많은 영향을 미친다"며 "지난 수십 년간 혼인과 출산의 주력 세대인 청년층의 가치관 변화는 제도 및 정책 변화보다 빨랐고 이것이 저출산의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밝혔다.
2018년 진행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설문에 따르면 15∼49세 무자녀 기혼여성 가운데 43.3%는 자녀가 없어도 무관하다고 답했다. 자녀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는 응답은 24.2%였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email protected]
입력 2022-12-24 13:19:50
수정 2022-12-24 13:1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