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에 닭 볏과 비슷한 모양의 깃털이 있어 '황관앵무'라고도 불리는 호주의 '큰유황앵무'가 사회적 학습을 통해 주택가의 쓰레기통 덮개를 열고 먹이를 찾아 먹는 것으로 밝혀졌다.
독일 공립 과학연구 기관 '막스플랑크협회'에 따르면 이 기관 산하 동물행동연구소의 루시 애플린 박사가 주도하는 국제 연구팀의 연구 결과, 쓰레기통을 열어 뒤지는 큰유황앵무의 특이한 행동이 유전적인 것이 아닌 학습의 산물이라는 사실을 처음으로 입증했다.
연구팀은 수년 전 큰유황앵무가 쓰레기통 덮개를 부리로 여는 비디오를 보고 체계적 연구를 시작했다. 큰유황앵무는 부리로 덮개의 한쪽 끝을 잡고 가장자리를 따라 안쪽으로 조금씩 이동해 완전히 젖힐 수 있다
연구팀은 우선 호주 동부 해안 지역에 서식하는 큰유황앵무가 모두 같은 형태의 쓰레기통을 뒤지는지 확인했다.
그 결과, 2019년 말까지 44개 지역 주민들이 이 모습을 목격했다고 답했으며 이를 통해 큰유황앵무의 쓰레기통 뒤지기 능력이 이들 사이에 급속도로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런 행동이 먼 곳보다는 가까운 곳에 더 빨리 퍼져 무작위로 돌출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밝혀졌다.
연구팀은 또 세 곳에서 약 500마리의 앵무에게 식별이 가능한 작은 점을 찍고 쓰레기통 덮개를 열어젖히는 앵무를 확인한 결과, 10% 정도만 이런 행동을 할 줄 알았으며 대부분이 수컷인 것으로 밝혀졌다.나머지 앵무는 쓰레기통 덮개를 열 줄 아는 "선구자"가 쓰레기통 덮개를 열어젖힐 때까지 주변에서 기다리기만 했다.
또 2018년 말에는 시드니 북부에서 큰유황앵무 한 마리가 새로운 방식으로 쓰레기통 덮개를 여는 것을 선보였으며 이후 인근의 다른 앵무들도 이를 똑같이 따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클룸프 박사는 "큰유황앵무가 모두 같은 방식으로 쓰레기통 덮개를 열지 않고, 지역에 따라 여는 기술이 다르다는 점을 관찰했으며, 이는 동료 앵무를 따라 하면서 배우는 것이라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논문 공동 저자로 애플린 박사에게 큰유황앵무의 비디오를 보여줘 이번 연구의 출발점이 된 '호주 박물관'의 선임 과학자 리처드 메이저 박사는 큰유황앵무에 대해 "호주의 다른 많은 새처럼 시끄럽고 공격적이며, 멍청한 행동도 자주 하지만 믿을 수 없을 만큼 똑똑하고 집요하며, 인간과의 생활에 뛰어나게 적응한다"고 평가했다.
이 연구 결과는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 발표됐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