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임 치료제 개발이 속도를 내면서 특허출원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난임이란, 임신이 어려운 상태를 뜻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2004년 12만여명이던 난임 진단자 수는 2016년 22만여명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15일 특허청에 따르면 최근 10년간(2008∼2017년) 난임 치료제 관련 특허출원 건수는 258건으로, 한 해에 적게는 17건, 많게는 34건의 특허가 출원되어 매년 평균 26건의 특허가 출원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출원은 지난 10년 동안 외국인이 주도한 상황에서 최근 들어 내국인 출원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글로벌 제약사 등 외국인 출원이 전체의 70%(181건)을 차지한 가운데 2008년 2건에 불과했던 내국인 출원이 서서히 늘어 지난해 16건으로 급증했다.
이 같은 현상은 국내 난임 부부가 늘어나면서 국내 업계와 학계들이 연구개발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출원 기술분야를 보면 합성화합물이 48%(124건)를 차지했고, 바이오의약품(40%, 102건), 천연물(11%, 29건) 등의 순이었다. 천연물의 경우 내국인 출원 비중이 90%에 달했다. 이는 한의약, 민간요법 등과 같은 우리나라의 풍부한 전통의학지식을 기반으로 국내 연구기관과 기업이 활발한 연구활동을 진행한 데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실제, 동국대 한방병원이 처방하고 있는 토사자, 복분자, 인삼, 구기자, 당귀 등이 배합된 한약이 착상 개선용 난임 치료용도로 특허등록을 받았고, 광동제약이 출원한 약학조성물이 정자수 증가를 통한 남성 난임치료 용도로 국내와 일본에서 특허등록됐다.
이유형 특허청 약품화학심사과장은 “저출산 시대에 아기를 간절히 희망하는 난임 부부를 도울 수 있는 치료제 개발은 가정의 행복은 물론이고, 가까운 미래에 인구절벽의 위협에 처해있는 우리나라의 국가적 생존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과장은 또 “난임 치료제 개발의 중요성과 시장 가치를 미리 내다보고 연구소 및 업계 차원에서 신기술 확보와 지재권 선점에 더욱더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권희진 키즈맘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