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

Infant care
초등학교 입학 전 똑똑한 공부 두뇌 만들기
입력 2015-01-17 09:14:24 수정 2015-02-25 17:02:09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3월이 되면 전국에서 일제히 입학식이 열린다. 학교에 입학하는 아이들은 설렘이 가득하겠지만 부모 마음은 그렇지 않다. ‘어느 새 이렇게 자랐나’ 하는 기특한 마음과 상급 학교에서 ‘학업을 잘 따라갈 수 있을까’ 걱정하는 마음이 한데 뒤섞여 복잡하다. 특히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부모들은 더욱 그렇다. 이제 학생이 되어 학교를 다녀야 하고 학습을 시작해야 하는 나이가 되었기 때문이다.


유치원에 다닐 때에는 비교적 교육에 관대했던 부모들도 입학을 앞두고 나면 걱정이 생긴다. 선행학습을 너무 안한 것은 아닌지, 학교 수업은 따라갈 수 있을지, 얌전히 책상 앞에 앉아 집중할 수 있을지 등 걱정은 끝이 없다.

다행이도 부모의 태산같은 걱정과 달리 대부분 아이들은 새로운 환경에 곧 적응을 한다. 그리고 제법 의젓하게 공부를 하는 기특한 모습도 보여준다. 문제는 그렇지 않을 경우다. 특히 아이가 열심히 공부를 하는 것 같은데 학습 내용을 잘 기억하지 못한다거나 새로운 정보에 대한 반응이 늦거나, 배운 내용을 말로 설명하지 못한다면 주의깊게 봐야 한다. 이런 아이들을 단순히 집중력이 안 좋다고 치부해서는 안 된다. 집중력이 아닌 두뇌의 나쁜 버릇 때문이다. 7세 이전에 생긴 사소한 나쁜 두뇌 습관들이 이런 결과를 초래한 것이다.

7살 이전의 두뇌는 뇌신경전달회로의 기초를 탄탄하게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지식이나 기술을 가르치는 것보단 뇌의 기능과 본능, 그리고 마음을 잘 움직일 수 있도록 훈련해야 한다. 이 시기에 나쁜 습관이 생기면 뇌의 기초가 허물어진다.

간혹 이미 우리 아이는 너무 늦은 게 아니냐는 우려 섞인 말을 한다. 하지만 뇌를 키우는데 늦은 시기란 없다. 간혹 8살 지났더라도 공부 두뇌로 잘 작동하기 위한 노력을 한다면 뇌의 ‘성능’을 올릴 수 있다. 따라서 학교를 입학하기 전 겨울방학기간 동안 공부 두뇌로 바꾸는 거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대신 그 동안 아이의 두뇌 기능을 방해하는 나쁜 습관을 바로잡는데 집중해야 한다.

겨울방학 동안 반드시 고쳐야 할 나쁜 습관은 다음과 같다.

1 모든 일에 관심이 없고 표정에 변화가 없다.
감정 판단을 내리는 A10 신경계 속에는 표정을 관장하는 미상핵이 있는데 이것은 얼굴 표정근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부정적인 감정으로 인해 찡그리거나 짜증내는 표정을 짓게 되면 두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긍정적인 감정을 갖고 자주 웃는 것이 뇌의 성능을 올려준다.

2 모든 일을 건성으로 한다
일을 대충 끝내려고 하는 것은 편해지고 싶어 하는 자기보존 본능이다. 대충 끝낸 상태에서 다음 일로 넘어가게 되면 뇌면 새로운 정보에 반응을 하게 된다. 즉 그 이전의 일은 잊어버린다는 말이다. 아이가 ‘대충 다 했어’, ‘거의 다 됐다’, ‘대충 알 것 같다’라고 말하면 그대로 넘어가지 말고 완벽하게 끝내도록 유도해야 한다. 어릴 때부터 무슨 일이든 완벽하게 끝내는 습관을 갖는 것이 좋다.

3 아이가 혼날 때 부모의 말을 잘 듣지 않는다.
혼나고 있는 아이의 모습에서도 나쁜 버릇을 찾아볼 수 있다. 부모의 말을 귀 기울여 듣지 않고 대충 듣는 척만 하는 모습을 보일 때가 있는데 주의해야 한다. 아무리 “듣고 있니?”라고 확인을 해도 아이는 대충 흘러듣는다. 이런 과정이 반복될 경우 결국 아이는 집중해서 듣는 법을 배우지 못한다. 아이를 혼낼 때는 자기보수 신경군의 활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명령하는 표현은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감정적으로 혼내면 안된다.

4 자신의 실패를 인정하지 않는다.
사람은 누구나 실패를 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실패 자체에 초점을 맞추기 보단 그것을 받아들이는 태도를 배워야 한다. 아이가 실수를 했을 때 변명을 한다거나 다른 사람의 탓으로 돌린다면 습관을 교정해줘야 한다. 부모는 아이를 객관적으로 관찰하여 인정하고 칭찬해주며 무엇이 부족한지 알려주는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도록 한다. 단 지나친 지적을 하거나 아이의 기를 죽이는 말투나 단어 사용은 피하는 게 좋다.

5 다른 사람을 쉽게 무시한다.
모든 일을 자기 위주로 생각하고 다른 사람을 존경하지 않는 태도는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없는 뇌로 만든다. 특히 커뮤니케이션은 최근 기업들이 원하는 인재상에서 빠지지 않는 부분이다. 점차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중요하게 여기는 분위기다. 따라서 아이 앞에서 다른 사람을 얕보거나 무시하는 말을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또한 다른 사람을 인정하는 모습을 보이며 존경할 부분에 대해서 함께 대화를 나누는 게 좋다. 부모가 솔선수범해야 아이가 바뀐다.

<참고도서 - 3,7,10세 공부두뇌를 키우는 결정적 순간, 테이크원>
강은진 객원기자
입력 2015-01-17 09:14:24 수정 2015-02-25 17:02:09

#산업 , #생활경제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