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에 대한 만족도·걱정·우울감 전년보다 하락
우리나라 국민의 삶에 대한 만족도는 전년보다 하락했으나 걱정과 우울감 또한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국책연구원인 한국행정연구원은 이런 내용이 담긴 '2023년 사회통합실태조사'를 19일 공개했다.사회통합실태조사는 우리 사회의 통합 수준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과 태도를 살펴보기 위해 행정연구원이 매년 실시하는 조사다. 한국갤럽조사연구소가 작년 9∼10월 전국 19세 이상 8천221명을 대상으로 면접 등을 통해 조사했다.우리 국민의 주관적 행복감은 10점 만점에서 평균 6.7점으로 2021년부터 3년째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삶에 대한 만족도(6.4점)와 자신이 하는 일이 가치 있다고 느끼는 정도(6.2점)는 전년보다 하락했다. 하지만 평균 6점 이상으로 보통(5점)보다 높았다. 걱정은 평균 3.6점에서 3.4점으로, 우울은 평균 3.0점에서 2.8점으로 하락했다.또한 월 가구 소득이 100만원 미만일 경우 행복감은 6.1점이었으나, 500만∼600만원은 6.9점, 600만원 이상은 6.8점으로 차이가 났다.연령별로는 19∼29세, 30대, 40대는 6.8점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60세 이상은 6.5점으로 약간 떨어졌다.월 가구 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경우 사회적 지위에 대한 인식 점수는 4.8점이었으나, 600만원 이상일 경우 5.7점으로 1점 가까이 높았다.남성(5.6점)보다 여성(5.5점)의 사회적 지위 인식 수준이 약간 낮은 현상이 3년째 유지됐고, 경제활동이 활발한 40·50대의 사회적 지위 인식 수준은 5.7점으로 높은 반면 60세 이상에서는 5.3점으로 하락했다.아울러 자신보다 자녀가 노력에 의해 사회적·경제적 지위가 상승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인식하는 경향은 2013년 조사를 시작한 이래 꾸준히 유지됐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
2024-03-19 09:05:35
우리 사회는 얼마나 공정할까? 질문하니…
'우리 사회가 공정하다'고 여기는 국민의 비중이 ‘그렇지 않다’고 느끼는 비중보다 훨씬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행정연구원은 29일 발간한 '2023년 제5차 데이터 브리프'에서 이같이 밝혔다.19∼69세 국민 2천323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 사회가 공정하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11.5%만이 긍정적으로 답했다. '매우 그렇다'(0.5%)와 '그렇다'(11.0%)을 합산한 결과다. 반면에 부정적으로 응답한 비율은 62.3%에 달했다. '보통'이라고 밝힌 비율은 26.2%다.국회와 법원, 행정기관 등 국가의 주요 기관에 가운데 '공정하게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는 인식이 가장 높은 집단은 국회(76.0%)로 나타났다. 이어 법원(61.4%), 행정기관(37.7%)의 순이다.반대로 공정하게 기능을 수행한다는 인식이 가장 높은 기관은 행정기관(22.1%)이다. 법원과 국회는 각각 14.6%, 6.1%다.'국가기관은 헌법적 의무인 견제와 균형을 잘 수행한다'는 항목에 대해서는 세 기관 모두 국민의 눈높이에 걸맞은 수준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이에 대한 긍정적 답변 비율이 가장 높은 행정기관이 25.2%였다. 법원(14.4%)과 국회(13.3%)는 10%대에 불과했다. 특히 법원과 국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각각 55%가 넘었다.일반 국민의 건의 사항이나 의견이 가장 반영되지 않은 기관으로는 국회(73.4%)가 지목됐다. 이어 법원(64.4%), 중앙정부(58.9%), 지자체(48.0%), 언론(44.8%), 노동조합(40.6%) 등의 순이다.조사를 진행한 김성근 한국행정연구원 국정데이터 조사센터연구위원은 "이번 연구로 일반 국민의 공공성 인식이 부정적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며 "향후 국민의 인식을 긍정적
2023-12-29 16:12:57
국민 10명 중 5명은 취약한 위험 1순위로 '이것' 꼽았다
국민 10명 중 절반인 5명은 현재 한국사회의 취약점으로 실업, 빈곤 등 '경제적 어려움'을 꼽았다. 한국행정연구원 국정데이터조사센터가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 의뢰해 지난해 12월 7일부터 14일까지 전국에 거주하는 만 19∼69세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이러한 결과가 나왔다. 국민 절반(48.4%)은 현재 한국사회가 가장 취약한 위험 1순위로 '경제적 어려움'(실업, 빈곤, 부채, 노후불안)을 선택했다. 뒤를 이어서 '건강'(감염병, 먹거리, 스트레스·우울증, 성인병)은 12.4%, '북한의 핵위협과 도발'도 9.3%의 선택을 받았다.본인에게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위험 1순위로는 '건강'(40.2%)을 택한 사람이 가장 많았다. '경제적 어려움'은 31.7%, '사생활 및 인격침해'(불법촬영, 개인정보 유출)는 10.3%가 선택했다.'사회재난 관련 예산과 인력을 늘리기 위해 세금을 지금보다 추가로 더 낼 의향'을 묻자 51.6%가 있다고 답했다. 우리나라에서 화재, 붕괴, 교통사고, 환경오염 사고, 감염병 확산 등 사회재난 발생 시 대응이 효과적인 주체로는 소방(86.2%), 병원·의료기관(77.2%), 시민(66.1%)이 꼽혔다.반면 경찰(27.9%), 중앙정부(25.5%), 지자체(23.0%), 언론(18.4%)의 대응은 효과적이지 않았다고 인식됐다.사회재난 발생 시 주된 책임이 누구에게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물어본 결과 '대통령·중앙정부'(47.6%)를 선택한 사람이 가장 많았다. '사고발생 시설 등을 운영하는 업체 및 단체'(22.1%), '과실, 부주의 등 원인을 제공한 개인'(14.5%), '관할 지방자치단체'(10.0%) 등이 그 뒤를 이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
2023-01-11 10:4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