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가려고?" 과고·영재학교 학생, 이공계 대학 진학률 ↓
과학고와 영재학교를 졸업한 후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이공계 특성화 대학에 진학하는 학생이 줄어들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4일 종로학원이 대학알리미에 공개된 '전국 4년제 대학 신입생 출신 고교 유형'을 분석한 결과, 과학고·영재학교 출신 4년제 대학 진학자는 총 2773명이었다. 이 중 한국과학기술원에 진학한 학생이 564명(20.3%)으로 가장 많았다.이어 서울대 503명(18.1%), 성균관대 196명(7.1%), 연세대 187명(6.7%), 포항공대 178명(6.4%) 순으로 확인됐다. 한국과학기술원에 진학한 학생이 가장 많았지만, 이공계 특성화 대학 6곳에 간 학생은 전년 대비 6.4%(70명) 줄어든 1024명이었다.학교별로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이 41명에서 23명으로 43.9%(18명) 줄어 가장 큰 감소세를 보였고,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25.8%(41명), 포항공대는 5.8%(11명), 한국과학기술원은 3.3%(19명) 감소했다. 다만 광주과학기술원은 16.1%,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는 13.8% 증가했다.이처럼 과학고·영재학교 출신 학생의 이공계 특성화 대학 진학은 감소했지만, SKY 대학(서울대·고려대·연세대) 진학자는 올해 825명으로 전년(786명) 대비 0.5% 늘었다. 특히 서울대는 503명으로 집계돼 전년(448명)보다 12.3% 증가했다.종로학원은 이런 변화의 원인으로 의대 선호 및 지방대 기피 현상을 꼽았다. 줄어든 인원이 의대나 수도권 이공계열에 진학했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또 2025학년도부터 의대 정원이 늘어나는 만큼, 과학고·영재학교 학생들의 이탈이 늘어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email protected]
2024-08-04 19:54:48
세계대학 순위 떴다...서울대는 몇 위? "도쿄대 추월"
QS 세계대학순위가 서울대를 31위로 꼽았다. 이번에 공개된 순위에서 국내 대학들은 전년 대비 약진했다.4일(현지시간) 공개된 '2025 QS 세계대학순위'에 따르면 서울대는 31위로 도쿄대(31위)를 앞질렀다. 국내 대학 중에서도 가장 높은 순위다.순위를 선정한 기준은 학계 및 직원 평판, 논문 인용도, 교수와 학생 수 비율이다. 서울대는 종합 점수(100점 만점) 82.3점을 기록했다.2023년 29위에서 다음 해 41위로 순위가 낮아졌던 서울대는 이번 평가에서 다시 순위가 상승해, 28위에서 32위가 된 도쿄대를 앞질렀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세대, 고려대, 포항공대도 세계 대학 10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카이스트는 53위로 전년도보다 3계단 올랐고, 연세대(76위→56위), 고려대(79위→67위), 포항공대(100위→98위)도 모두 순위가 상향됐다.전체 순위에서 1위를 차지한 대학교는 미국의 매사추세츠공대(MIT)로, 13년 연속 최상위를 유지하고 있다. 2, 3위는 영국의 런던 임페리얼 칼리지와 옥스퍼드대가 차지했고, 아시아권에서는 싱가포르국립대(NUS)가 가장 높은 순위(8위)에 올랐다. 2025년 QS 세계대학순위는 세계 105개국의 대학 1500곳 이상을 대상으로 한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email protected]
2024-06-07 18:02:49
푹푹찌는 '가을폭염', 2년 주기로 온다...왜?
재작년인 2021년 10월 한국에 발생한 전례 없는 가을 폭염이 2060년대가 되면 2년마다 나타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포항공대(포스텍)는 환경공학부 민승기 교수, 김연희 연구교수 연구팀이 울산과학기술원, 국립기상과학원, 영국 기상청과 공동연구를 통해 이 같은 결론을 내렸다고 7일 밝혔다.2021년 10월 상반기 한국의 평균 기온은 19.9도로 예년 평균에 비해 3.9도 높은 이상고온 현상을 보였다.이는 수천 년에 한 번 관측되는 이례적인 사례였다.당시 남부지역은 하루 최고 기온이 30도 이상에 이르는 등 전국적으로 농작물을 포함해 큰 피해가 나탔다.공동 연구팀은 CMIP6 전자구기후모델과 영국 기상청의 대규모 앙상블 시뮬레이션 자료를 통해 2021년 10월과 같은 이상고온 현상이 지구온난화에 의해 얼마나 더 잦아지는지 확률적으로 비교 분석했다.그 결과 인간에 의한 온실가스 증가가 없었다면 발생 가능성이 매우 희박한 것으로 나타났다.연구팀은 앞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이지 않으면 그 빈도가 급격히 늘어나 2060년대에는 2021년과 같은 이상고온을 격년마다 겪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그러나 파리협정 목표 온도를 달성해 지구온난화를 산업혁명 이전보다 2도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면 극단적 가을 폭염은 30∼40년에 한 번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민승기 교수는 "최근 들어 전례 없는 규모의 가을철 이상고온 현상이 잦아짐에 따라 그 발생 가능성에 대한 상세한 전망과 함께 분야별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이번 연구 결과는 최근 '미국기상학회보' 특별호에 소개됐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email protected]
2023-03-07 13:3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