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율 높이려면 미혼여성 위한 정책 필요해
출산율을 높이려면 미혼여성이 마음 편히 일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서울대에 따르면 이 대학 지역정보학전공 김홍석 교수 연구진은 '2020 인구주택총조사'에 나타난 출산 의향과 고용상태 간 통계적 패턴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이같이 주장했다.총조사에 응답한 8만6948가구 중 출산 의향이 있다고 밝힌 가구는 1만1568가구(13.3%)다.결혼 전부터 경제활동을 했을수록, 결혼 이후 일·가정 양립이 잘될수록, 고용 안정성이 보장될수록 출산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만혼일수록 출산 의향이 커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 경력 단절을 겪은 여성, 결혼 전에 취직하지 못한 여성은 출산 의향이 적었다. 경력 단절과 미취업 등은 경제력 저하로 이어져 임신과 출산, 육아의 장애 요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경력 단절이 출산 의향에 주는 영향은 30대에서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됐다.이는 20대는 미취업자나 사회초년생이 대부분이고, 40대는 출산 적령기가 지났기 때문에 나타나는 경향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는 출산장려정책을 펼 때 미혼 여성을 고려하는 것의 중요성을 보여준다"며 "출산율을 효과적으로 높이려면 30대 여성 고용을 늘리는 것이 결정적"이라고 강조했다.아울러 단순히 고용률을 높이는 데서 더 나아가 고용 안정성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이번 연구 결과는 오는 4∼7일 대구 엑스코에서 열리는 제28회 국제지역과학협회(RSAI) 태평양지구 학술대회에서 발표된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email protected]
2024-08-05 17:10:12
워킹맘 28%는 임시직…10%는 월 100만원도 못벌어
회사에 다니면서 아이를 키우는 '워킹맘' 중 28%는 임시·일용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10%는 월 100만원도 벌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6일 통계청의 ‘자녀별 여성의 고용지표’에 따르면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15~54세 취업 여성은 지난 4월 기준으로 282만7000명, 이 중 임금근로자는 229만명이었다.임금근로자 가운데 임시·일용근로자는 64만1000명으로, 임금근로자의 28.0%를 차지했다. 작년과 비교하면 4만1000명 감소했고 임금근로자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29.8%에서 28.0%로 낮아졌지만, 여전히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또한 임금근로자 워킹맘의 10%는 월 100만원을 벌지 못했다. 100만원 미만을 버는 비율이 10.2%(23만5000명), 1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을 버는 비율이 33.1%(75만7000명)였다.20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은 29.5%(67만5000명), 300만원 이상 400만원 미만은 14.2%(32만5000명), 400만원 이상은 13.0%(29만8000명) 등으로 조사됐다. 워킹맘의 고용률은 자녀의 연령이 어릴수록, 자녀 수가 많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막내 기준으로 6세 이하 자녀와 함께 사는 여성의 고용률은 49.1%에 그쳤다. 7∼12세 자녀와 동거하는 여성의 고용률은 61.2%, 13∼17세 자녀와 사는 경우 66.1%였다. 자녀 수가 1명이면 고용률이 58.2%였지만 2명이면 56.5%, 3명 이상이면 53.1%로 낮아졌다.자영업자를 비롯해 비임금근로자로 분류되는 '워킹맘'은 4만7,000명 감소한 53만8,000명이었다. 한편, 이 통계는 지난 4월 14~20일 일주일간 전국의 약 23만1000 표본가구 내 상주하는 만 15세 이상 가구원을 대상으로 조사됐다.이진경 키즈맘 기자 [email protected]
2019-12-06 17:2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