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 "신발세탁 피해 신고 많아"
한국소비자원이 신발세탁 피해 신고가 매년 1000건 이상씩 접수된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지난 2021년부터 작년까지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신발세탁 관련 불만 건수는 모두 3893건으로 물품 서비스 분야에서 다섯 번째로 많았다. 연도별로는 2021년 1252건, 2022년 1332건, 2023년 1309건으로 집계됐다.이 가운데 소비자 분쟁 발생에 따른 책임 소재를 규명하는 신발제품심의위원회 심의를 신청한 건수는 685건이었다.심의 결과를 보면 세탁업체 잘못으로 판정된 경우가 52.7%(361건)로 가장 많았고 제조판매업체 책임인 경우는 25.4%(174건)였다.세탁업체 책임으로 분류된 건은 대부분 세탁 방법이 부적합하거나 과도한 세탁, 후손질 미흡 등이 원인이 됐다.가죽이나 스웨이드와 같은 특수 소재 제품을 물 세탁해 분쟁이 발생한 사례도 있었다.이처럼 세탁 방법 부적합에 따른 분쟁이 빈발한 것은 의류와 달리 신발에는 취급표시 사항이 붙어 있지 않아 세탁자가 적절한 세탁 방식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작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소비자원은 설명했다.이에 소비자원은 국가기술표준원과의 공조 아래 지난 3월 신발 제조·판매 시 제품 재질과 취급 주의사항 등을 제품에 고정해 표시하도록 권장하는 내용을 관련 고시에 포함했다.소비자원은 소비자에게도 제품 구입 시 품질 표시와 취급 주의사항을 확인하고 세탁을 의뢰할 때 세탁업체와 이를 공유할 것을 당부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email protected]
2024-07-05 09:09:16
소비자원 "'세탁분쟁' 절반 이상은 제조·세탁업체 책임"
세탁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2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올해 1~10월 세탁 불만으로 접수된 섬유제품 관련 불만사항은 1152건으로 전년 동기(1090건) 대비 5.7% 증가했다. 세탁 불만 접수사항은 2021년 1342건 지난해 1389건으로 증가 추세다. 소비자원이 2021년부터 올해 10월까지 신청된 세탁서비스 관련 심의 3883건을 분석한 결과 '사업자 책임 없음'이 44.2% 즉 1718건으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제품 자체의 품질이 불량해 제조판매업체의 책임으로 나타난 경우가 29.3% 즉 1138건이었으며 세탁업체의 과실로 판정된 경우도 26.4%였다. 업체별로는 상위 5개 업체가 심의사건의 38.9%(1509건)를 차지했다. 구체적으로 ▲크린토피아(899건) ▲월드크리닝(315건) ▲워시스왓(116건) ▲크린에이드(90건) ▲크린파트너(89건) 순이다. 상위 5개 업체의 심의사건을 책임소재별로 분석한 결과 세탁업체 과실은 22.0%(332건)로 나타났다. 업체별로는 ▲크린파트너(29.2%) ▲크린에이드(26.7%) ▲월드크리닝(23.2%) ▲워시스왓(21.6%) ▲크린토피아(20.5%) 순으로 세탁과실 판정 비율이 높았다. 세탁업체 과실로 판정된 1027건을 하자유형별로 살펴보면, '세탁 방법 부적합'이 54.1%(556건)로 가장 많았다. 이어 '후손질 미흡' 18.1%(186건), '오점제거 미흡' 12.5%(128건) 순이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세탁 의뢰 시 제품의 상태를 사전에 확인하고 인수증을 받아야 한다"며 "완성된 세탁물은 가급적 빨리 회수하고 하자 유무를 즉시 확인하는 것이 좋다"면서 "세탁물에 하자 등을 발견한 경우 세탁물을 인도받은 날로부터 6개월 이내에 하자의 보수 또는 손해배상을 청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
2023-11-22 11:4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