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조림 소비 늘어 비스페놀 흡수율↑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결과 발표
통조림과 캔음료 섭취 빈도가 늘면서 비스페놀 등의 흡수율이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비스페놀은 통조림 내부 코팅제, 파라벤은 음식에 박테리아·곰팡이·진균 등이 생기지 않도록 막는 보존제로 사용된다. 이들은 내분비계를 교란하고 생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질에 해당한다.8일 국립환경과학원이 공개한 제5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3차 연도 결과 요약문을 보면 통조림과 캔 음료 등 '캔 음식'을 일주일에 4번 이상 섭취한다는 비율이 성인과 중·고등학생 모두에서 4기 조사 때보다 늘었다.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는 국민 몸 안에 환경유해인자 농도가 얼마나 되는지 파악하고자 3년 단위로 실시된다. 5기 조사는 2021~2023년 진행됐으며 6608명(만 3세 이상 어린이와 청소년 2329명·성인 4279명)이 참여했다.조사는 설문조사와 생체시료를 채취해 분석하는 방법으로 진행됐다. 5기 조사에서 캔 음식을 주4회 이상 먹는 것으로 조사된 비율은 성인과 중고생 각각 4.2%와 8.8%로 2018~2020년 수행된 4기 조사 때(3.7%와 7.5%)보다 높아졌다.다만 캔 음식을 일주일에 1~3회 먹는다는 비율은 성인과 중고생 각각 17.6%와 37.5%로 4기(19.3%와 38.8%)보다 줄었다. 한달에 1~3회 섭취한다는 비율은 성인에선 40.7%, 중고생에선 40.3%로 4기(34.8%와 37.1%)보다 증가했다.캔 음식을 안 먹는 비율은 성인 13.4%와 중고생 37.5%로 4기(16.7%와 42.1%)에 견줘서 줄었다.또한 일주일에 4번 이상 스킨·로션·에센스 외 화장품을 사용하는 비율은 성인 22.8%, 중고생 10.1%로, 4기(33.6%와 29.6%)보다 감소했다.화장품을 아예 쓰지 않는다는 비율은 성인과 중고생 각각 60.2%와 69.9%로, 4기(44.7%와 42.0%)에 견줘 큰 폭으로 늘었다.5기
2025-07-08 16:17:29
-
-
"임신부에 비스페놀A 노출되면 태아 뇌 인지기능 떨어져"
임신 중 비스페놀A(BPA)에 노출되면 태아의 뇌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안전성평가연구소는 비스페놀A에 임신한 실험동물을 노출시킨 결과, 태아의 뇌 발달 단계에서 신경세포의 생성 및 기능에 독성영향을 미쳐 행동장애까지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14일 밝혔다.BPA는 플라스틱 제품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화학 물질로, 대표적인 내분비계 교란 물질 중 하나다. 플라스틱제품 뿐만 아니라 식품캔, 의료기기, 영수증 등 일상생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BPA를 낮은 수치로 실험동물에 노출했을 때 당뇨병, 유방암, 생식계 이상, 비만, 신경학적 문제를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도 보고되어 있다. 연구팀은 임신한 생쥐를 대상으로 태아의 뇌 발달 단계에서 BPA가 미치는 독성을 분자생물학적·전기생리학적·행동학적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분자생물학적 시험 결과 임신 중 BPA 노출로 태아의 뇌에서 신경세포(뉴런) 생성이 억제돼 신경세포 수가 감소하고, 시냅스(신경세포 간 연결부위) 기능이 저하된 모습이 확인됐다.또 정상군의 대뇌피질 두께보다 얇아진 모습이 관찰됐다. 이는 발달장애로 인한 뇌 신경 질환, 인지기능과 학습 능력 저하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이어 전기생리학적 연구를 통해 BPA 노출이 신경 신호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 신경세포의 신호 전달 활동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행동학적 연구 분야에서는 과잉 행동을 비롯해, 낯선 상대가 있는 장소에는 짧게 머무르는 반응 등을 보였다. 이는 청소년기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가민한 박사는 "이
2022-07-14 16:00:04
-
-
계명찬 교수 "환경호르몬으로부터 우리 몸 지키려면 일상부터 되짚어야"
지난 27일 오전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2019 부모를 위한 독서문화' 2월 강좌가 열렸다. 이날의 주제는 '환경호르몬으로부터 우리 몸과 생태계를 보호하자'로 계명찬 한양대 생명과학과 교수가 강연했다. 지구의 3대 환경문제 중 하나로 '환경호르몬'을 언급한 계명찬 교수는 "인간 사망 질병의 40%는 환경오염과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계명찬 교수에 따르면 환경호르몬이 유발하는 질병으로는 ▲불임 ▲대사 질환 ▲면역 질환 ▲발생 기형 ▲행동 이상 ▲(호르몬 민감성)암이 있다.이 중 면역 질환으로는 아토피가 있는데 면역력이 지나치게 활성화되면 오히려 자가 면역 체계를 공격해 나타나는 대표 증상이다. 행동이상은 과잉행동증후군이 있으며 호르몬 민감성 암은 생식기와 관련된 유방암, 전립선암, 난소암 등을 의미한다.특히 엄마의 체내 축적된 환경호르몬은 태아에게 전달되므로 임신 가능성이나 계획이 있는 여성은 일상에서 환경호르몬 노출을 신경 써야 한다. 이처럼 환경호르몬에 대한 경고는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지만 우리의 생활 편의와 환경호르몬 수치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정비례 관계에 있다. 일례로 화재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 실내 인테리어에 난연제를 사용하는 것, 단위 면적당 생산량을 최대치로 끌어올리기 위해 농작물에 제초제와 살충제 등 농약을 살포하는 것도 결국 좀 더 편하게 살고자 과거보다 수치가 높은 환경호르몬을 택한 이유가 된다.근본적인 해결은 환경 호르몬이 아예 없는 제품을 사용하고 편의를 포기하는 것 혹은 제품을 편리하게 사용하면서도 환경호르몬 걱정에서 자유로운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다. 아
2020-02-28 16:49:40
-
-
국립환경과학원, 어릴수록 환경유해물질 체내 농도↑
나이가 어릴수록 프탈레이트와 비스페놀-A 등 플라스틱 관련 환경유해물질의 체내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이 2015∼2017년 국민 몸속의 납, 수은 등 환경 유해물질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제3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전국 233개 지역과 183개의 보육·교육기관을 대상으로 국민 6167명(영유아 571명·초등생 887명...
2019-12-26 16:55:39
키즈맘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