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여운 볏왕관 펭귄, 낳은 알 버리는 이유는?
멸종위기종인 '볏왕관펭귄'은 번식기가 되면 눈에 띄게 다른 크기의 알 2개를 낳고 먼저 낳은 알은 둥지 밖으로 밀어내거나 깨뜨려버리는 독특한 습성을 갖고있다.이런 사실은 지난 1998년 처음으로 밝혀졌는데, 이들이 첫 알을 포기하는 이유가 20여년만에 밝혀졌다.뉴질랜드 오타고대학의 로이드 데이비스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볏왕관펭귄의 야생 관찰자료를 토대로 첫 알을 거부하는 독특한 부화 습성을 분석한 결과를 미국 공공과학 도서관(PLOS)이 발행하는 개방형 정보열람 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에 발표했다.PLOS에 따르면 볏왕관펭귄은 지난 50년간 개체 수가 급감하며 멸종위기에 처해있지만 뉴질랜드 남동부 바다의 오지인 '안티퍼디즈'섬과 '바운티'섬에서만 번식해 펭귄 종 중에서는 생태 연구가 가장 덜 돼있다.과학과 자연을 주제로 한 작가이자 영화 제작자로도 활동해 온 데이비스 교수가 20여년 전 이 섬들을 방문해 볏왕관펭귄의 구애와 알 낳는 방식을 처음 관측해 세상에 알려지게 됐지만 이후 더 깊은 연구가 진행되지는 못했다.연구팀은 당시 113개의 둥지를 관찰하며 수집한 자료를 재분석해 볏왕관펭귄이 알 두 개를 다 키울 수 없는 상황에서 두 번째로 낳은 큰 알의 생존 가능성이 더 높아 먼저 낳은 알을 포기하게 된다는 결론을 내놓았다.연구팀은 학명이 '에두디프테스 스클라테리'(Eudyptes sclateri)인 볏왕관펭귄도 다른 대부분의 조류와 마찬가지로 양육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알을 낳은 뒤 부화 과정에서 줄이는 생태를 보인다고 밝혔다.볏왕관펭귄은 첫 알을 낳고 닷새 뒤에 확연히 더 큰 두 번째 알을 낳는데, 알 크기에 차이가 있는 조류가 드물
2022-10-14 18:30:36
주왕산, 10년 만에 생물종수 약 2배 증가…3202종 서식
▲ 2017년 주산지 일원에서 촬영된 긴꼬리딱새(멸종 2급)국립공원관리공단은 지난해 주왕산국립공원의 자연자원을 조사한 결과, 주왕산 에 서식하고 있는 야생생물 종수가 3202종으로 집계됐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2008년 자연자원 조사 당시의 1726종에 비해 약 1.85배 증가한 수치다. 주왕산의 야생생물 종수는 곤충류 1,469종, 관속식물 758종, 고등균류 503종, 포유류 33종, 조류 60종, 담수어류 18종, 기타(양서류 등) 361종으로 구성됐다. 멸종위기 야생생물인 Ⅰ급 산양, 수달, 붉은박쥐 등 3종과 Ⅱ급 가시오갈피, 큰바늘꽃, 삵, 담비, 하늘다람쥐, 새호리기, 새매, 큰말똥가리, 긴꼬리딱새 등 9종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4월과 9월에는 산양 2마리가 포착됐다. 이는 1976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이후 42년 만에 처음이다. 이에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주왕산 부근에 최소 3마리 이상의 산양이 서식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산양 출현은 이곳 일대가 백두대간 동해안 지역(북부권~남부권)의 산양 서식지를 연결하는 중요 지역이라는 근거 중 하나다. 긴꼬리딱새도 지난해 7월 주왕산 주산지 부근에서 처음으로 한쌍이 확인됐다. 이 새는 제주도나 거제도 등 남부 섬 지역에만 주로 관찰되던 철새로 부리와 눈의 테두리가 파란색을 띤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주왕산 일대가 계곡과 산림이 조화롭게 발달하여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곳으로 파악하고 있다. 특히 주왕산의 대표 경관지인 주산지는 1km2 당 출현하는 평균 생물 종수가 187.5종에 이른다. 주왕산 전체 평균 1km2 당 34.5종에 비해 5.4배가 높다.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장은 “주왕산국립공원은 유네스코에서 2017년
2018-03-19 10:5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