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 리콜된 제품이 구매대행 및 오픈마켓 사이트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국내에서 유통·판매되고 있어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이 작년 한 해 동안 중국·미국·유럽 등 해외에서 리콜된 제품의 국내 유통여부를 모니터링한 결과, 총 382개 제품이 확인되어 판매차단·환급·폐기 등의 시정 권고를 받았다.
382개 제품 중 국내 수입·유통업자가 확인되지 않은 377개 제품은 구매대행 사이트 등 제품 판매 사이트의 게시물을 삭제하거나 판매를 차단했고, 국내 수입·유통업자가 확인된 5개 제품은 환급·교환 등을 권고하여 사업자의 자발적인 조치가 이뤄졌다.
382개 제품을 품목별로 보면 ‘음식료품’이 158개(41.4%)로 가장 많았고, ‘아동·유아용품’ 51개(13.4%), ‘가전·전자·통신기기’ 44개(11.5%) 등의 순이었다.
품목별 리콜 사유를 살펴보면, ‘음식료품(158개)’은 유해물질 함유(56개, 35.4%)와 알레르기 유발물질 미표시 등 표시사항 미흡(41개, 25.9%)으로 인한 리콜이 많았다. 특히, 허용치를 초과하는 에틸렌옥사이드를 함유한 건강식품·식품보조제(24개)와 우유·땅콩·밀과 같은 알레르기 유발물질을 제대로 표시하지 않은 간식류 제품(18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유아용품(51개)’은 제품의 작은 부품이 분리되어 영유아·어린이가 삼킬 경우 질식의 위험이 있어 리콜된 사례가 절반 이상(28개, 54.9%)이었다.
‘가전·전자·통신기기(44개)’는 과열·발화·화상 위험(22개, 50.0%)이 있거나 절연 미흡 및 감전 위험(12개, 27.3%)이 있어 리콜된 것이 많았다. 특히 내장용 배터리나 충전기 결함으로 화상·감전 위험이 있는 제품(13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제조국 정보가 확인되는 124개 제품을 살펴본 결과, 중국에서 생산된 제품이 49개(38.9%)로 가장 많았고, 미국산(31개, 24.6%), 영국산(10개, 7.9%) 제품이 뒤를 이었다. 품목별로 ‘음식료품’은 미국산(48개 중 18개, 37.5%)이, ‘아동·유아용품’ (28개 중 22개, 78.6%)과 ‘가전·전자·통신기기’(17개 중 14개, 82.4%)는 중국산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해외리콜 제품의 국내 유통 건수는 382건으로 전년(153건) 대비 149.7% 증가했다. 작년 한 해 해외리콜 제품 유통이 이처럼 큰 폭으로 증가한 이유는 해외리콜 정보 수집을 확대하고 국내 유통 모니터링을 강화한 결과다.
해외리콜 정보가 수집된 기관이 재작년 19개에서 지난해 27개로 확대되었고, 일본과 프랑스 리콜정보가 각각 523.1%, 32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리콜 제품은 정식 수입사를 통한 유통보다는 국내 오픈마켓이나 구매대행 사이트 등을 통하는 경우가 많고, 한 판매처에서 판매가 차단된 제품이라도 다른 사업자나 판매 채널을 통해 다시 유통될 가능성이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최초 판매차단한 제품에 대해 기존 3개월에서 1개월로 모니터링 주기를 단축하고, 재유통 점검횟수를 2회로 강화하였다. 재유통 여부 모니터링 결과, 작년 차단 조치한 해외리콜 제품 382개 중 15.1%(58개)가 다시 유통된 것으로 확인되어 판매차단을 권고했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