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빙

Living

[김태훈 칼럼] 긍정적 자기 암시의 힘

입력 2016-09-09 10:15:18 수정 2016-09-09 10:15:18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2016 리우 올림픽 펜싱 에페 종목에서 박상영 선수가 막판 5점을 연속 득점하는 역전 드라마가 펼쳤다. 그가 우승하면서 우리에게 보여준 것은 긍정적인 자기 암시. 13-9로 뒤진 상황에서 박상영이 ‘할 수 있다’고 되뇌이며 경기에 임하는 자세는 큰 감동을 주었다.

긍정적 자기 암시를 ‘피그말리온 효과’라고 한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조각가 피그말리온의 이름에서 유래한 심리학 용어로, 조각가였던 피그말리온이 아름다운 여인상을 조각하고 그 여인상을 진심으로 사랑하게 되는 유래에서 비롯된 말이다.

여신 아프로디테는 그의 사랑에 감동하여 여인상에게 생명을 주었고, 이처럼 타인의 기대나 관심으로 인하여 능률이 오르거나 좋은 결과를 낳는 현상에 대해 피그말리온 효과 즉, 자기 충족적 예언이라고 한다. 박상영 선수 역시 자신에게 긍정적인 이미지를 부여함으로 금메달에 대한 부담감을 떨쳐버리면서 경기에만 집중할 수 있어 기적 같은 결과가 나온 것이다.

이러한 효과는 자기 자신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다. 다른 사람들이 자신이 기대하는 것이 있을 때 그 기대에 부응하려고 노력하며 점차 발전하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이런 현상들은 필자가 접하는 소아정신과 임상 현상에서 늘 나타나는 모습이기도 하다.

반에서 말썽꾸러기로 선생님과 아이들에게 따돌림을 받았던 아이가 아이들을 이끄는 전교 회장이 되고 전체 석차 1등이 되면서 자기 자신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건강한 아이로 성장하게 되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그 뒤에는 아이가 긍정적으로 자랄 수 있도록 뒷받침이 되어준 부모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그렇다면 반대로 나타나는 현상은 어떨까. 부정적인 행동을 할 것으로 생각하고 타인을 대하게 된다면 그 사람이 실제로 나쁜 쪽으로 변해 가는 현상이 있는데 이는 ‘스티그마 효과(stigma effect)’라고 한다.

이런 현상도 임상 현장에서 많이 나타난다. 우울증을 앓게 되면 사람들은 자기 자신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생각하게 되고 자책을 하게 되는데 이런 모습들이 타인에게도 나타나거나 특히 부모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아이들에게도 발생한다. 소아정신과에서 아이 치료 시 부모 치료 역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피그말리온 효과를 나 자신의 생활에 적응해 본다면 내 자신이 남에게 호의적으로 대할 때 내 평가가 좋아지게 된다. 따라서 남이 생각한 나의 평가가 호의성 측면에서 많이 부족하다면 보다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런 노력이 반복된다면 나도 모르게 긍정적인 사람으로 변해가게 된다. 사람들이 존경하는 명사들은 수없이 많은 어록을 남겼다. 이런 어록의 공통적인 특징은 나 자신에 대해 좋게 생각하고 세상을 긍정적으로 임하라는 것이다. 소아정신과 치료를 받는 아이들의 부모를 만나면 공통적으로 “내 아이가 나와 같은 삶을 살지 말고 보다 더 긍정적으로 잘 살았으면 좋겠다”라는 말을 한다.

이런 식의 말은 그만큼 자신에 대해 긍정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아이가 잘되기 바란다면 부모 스스로 보다 더 긍정적이고 행복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


김태훈
現 사랑샘터정신과 원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 외래 교수
서울시 성북구 의사회 보험이사
대한 소아정신의학회 정회원


위 기사는 <매거진 키즈맘> 9월호에도 게재되었습니다.

키즈맘 판매처 //bjyanche8.com/magazine
입력 2016-09-09 10:15:18 수정 2016-09-09 10:15:18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