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절반은 빈곤...여성·노인에 더 가혹
전체 가구 유형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1인가구의 빈곤율이 여전히 5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성보다는 여성이, 청년보다는 노인의 빈곤율이 높았다. 9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2022년 빈곤통계연보'에 따르면, 2020년 1인 가구의 가처분소득 기준 상대적 빈곤율(중위소득 50% 이하)은 47.2%로 나타났다.1인 가구의 빈곤율은 2016년 54.0%였던 것이 2017년 52.1%, 2018년 52.7%, 2019년 51.8%를 기록하다가 그나마 2020년 50% 이하로 내려왔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 1인 가구의 빈곤율이 72.1%에 달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년 전인 2016년 78.4%에 비하면 6.3%포인트 낮아졌지만, 여전히 10명 중 7명은 빈곤 상태인 것이다.1인 가구 중 중년층인 50~64세의 빈곤율도 38.7%로 전 연령대 평균보다 높았다. 장년층(35~49세)은 19.5%였고, 청년층(19~34세)도 20.2%나 됐다.또한 여성 1인 가구 빈곤율이 남성에 비해 높았다. 2020년 기준 여성은 55.7%, 남성은 34.5%다. 다만, 남녀 성별 빈곤율 격차는 좁아지는 추세다. 2016년의 경우 여성 1인 가구의 빈곤율은 63.8%, 남성 1인 가구 빈곤율은 38.7%였다.이진경 키즈맘 기자 [email protected]
2023-04-10 11:27:01
지난해 10집 중 3집은 '1인 가구'...결혼 생각 있을까?
우리나라 열 집 가운데 3집은 나홀로 거주하는 1인 가구였다. 또 이들은 절반 정도가 '결혼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한 것으로 조사됐다.7일 통계청은 '통계로 보는 1인 가구' 자료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1인 가구는 716만6천가구로 1년 전에 비해 52만2천 가구(7.9%) 증가했다.1인 가구가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3.4%까지 올라간 상태다. 전체 가구 가운데 10가구 중 3가구는 1인 가구인 셈이다.1인 가구 비중은 2005년만 해도 20%에 불과했지만 2019년 처음으로 30%를 넘어섰고, 지난해 또다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이 추세라면 2050년에는 1인 가구 비중이 39.6%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연령별로는 29세 이하 1인 가구가 19.8%로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냈으며 이외 70세 이상(18.1%), 30대(17.1%), 60대(16.4%) 등의 순으로 확인됐다.지역별로는 경기도에 사는 1인 가구가 21.5%로 가장 많았고 서울이 20.8%로 그 뒤를 이었다.1인 가구 10명 중 4명은 서울 아니면 경기도에 거주한 것이다.주거 형태는 42.3%가 월세로 가장 흔한 유형이었다.조사에서 확인된 1인 가구 중 절반(50.3%)은 2020년 기준 미혼이었다. 이들은 결혼하지 않은 이유를 '결혼 자금 부족(30.8%)'로 가장 많기 꼽았으며 아예 '결혼의 필요성을 못 느낀다'고 답한 사람도 12.3%나 됐다.전체 1인 가구 가운데 '결혼을 해야 한다'고 응답한 사람은 47.1%로 절반을 밑돌았으며 '결혼을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고 생각하는 1인 가구 비중은 44.3%로 전체 인구(43.2%)보다 높았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email protected]
2022-12-07 15:51:57